![]() |
연합뉴스 |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인구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부산 혼인 건수는 988건으로 1년 전 같은 달(737건)보다 34.1%(251건)나 늘었습니다. 이 증가율은 1996년 1월(60.7%) 이후 28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지난 4월(8.9%)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 7월 부산지역 전체 출생아 수는 1124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2%(95명) 늘었습니다. 이 증가율은 2015년 3월(10.6%) 이후 9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입니다.
통계청은 이를 두고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최근 1, 2년간 집중되면서 혼인 건수나 출생아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인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가 결혼 장려 정책 등을 발표·시행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구조적인 개선으로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도 적지 않습니다. 실제 올해 1~7월 누계 기준으로 보면 부산 출생아 수(7548명)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줄었습니다. 올해 1~7월 부산의 인구 자연감소(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현상) 규모도 7767명으로 지난해 1~7월(7149명 자연감소)보다 증가했습니다.
저출생 문제는 지구촌의 과제가 되다시피 했습니다. 그만큼 문제가 심각합니다. 저출생은 국가경쟁력과도 직결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만큼 정책의 효과가 크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출산 장려뿐만 아니라 저출산에 따른 산업, 먹거리, 국가 경쟁력을 함께 고려해 종합적인 저출생 극복 정책을 펼쳐야 할 것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고삐를 늦추지 말고 좋은 정책개발에 매진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