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부, 예측모형 등 연구용역
- 기후변화 대응·물가 안정 목표
- 업종변경 등 어민 지원도 추진
정부가 고등어를 비롯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대중성 어종의 어획량이 계속 줄면서 가격이 오르는 등 시장 상황이 불안정해지자 장기적 관점에서 수급 상황을 관측해 대처하기로 했다.
![]() |
매장에 진열된 수산물.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산물 유통정보를 보면 지난달 28일을 기준으로 할 때 연근해산 냉장 물오징어 한 마리 가격은 9417원으로 1년 전 및 평년(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과 비교해 각각 21.2%, 27.2% 올랐다. 또 국산 냉장 고등어 가격은 한 마리당 4653원으로 1년 전보다 20.7% 비싸다. 마른 멸치(100g)는 2534원으로 17.2% 올랐다.
이 같은 수산물 가격 상승의 이유는 어획량 감소다. 통계청이 지난달 21일 내놓은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어업 생산량은 361만 t으로 2023년보다 2.2% 줄었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인기 수산물의 연근해 어획량은 전년보다 11.6% 감소한 84만1000t이었다. 이 수치는 1971년(76만4000t) 이후 가장 적다. 지난해 오징어 생산량은 1만3500t으로 전년에 비해 42%나 줄었다. 고등어와 갈치의 하락 폭은 각각 17.4%, 26.6%였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평균 151만t 을 유지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 116만 t 수준으로 급감했으며 계속 내림세를 보인다.
전문가들은 고수온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어획물이 감소했다고 분석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의 과학조사선 관측 결과, 지난해 우리 바다 연평균 표층 수온은 18.74도였다. 최근 57년간 관측된 수온 중 가장 높았다. 이 때문에 기존에 형성된 어장이 다른 바다로 이동하면서 오징어, 고등어, 멸치 등 특정 어종의 어획량이 줄거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고수온 영향으로 양식장도 피해를 봄에 따라 횟감으로 인기가 높은 양식 어종인 광어와 우럭의 1월 도매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8.7%, 55.0% 올랐다. 다른 어종도 사정은 비슷하다. 제주 연안의 방어 어장은 수온이 오르자 점차 북상하고 있으며 서해에서 주로 잡히던 꽃게가 동해에서도 어획되는 ‘어장 지도’가 바뀌는 상황이 발생하는 중이다.
이에 해수부는 연구 용역을 통해 수온, 해수면, 염분, 해류 등 기후 요소를 파악한 뒤 대책을 수립해 대중성 어종의 수급 불안에 대응하기로 했다. 용역 수행 기간은 올해 12월 15일까지다. 아울러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업 폐사 문제는 대체 품종 보급과 양식장 이전 지원 등으로 해결할 계획이다. 또 ‘광역 면허 이전 제도’(기존 허가 지역을 떠나 양식이 용이한 지자체로 이동) 도입, 어획량이 감소한 어민들 을 대상으로 허가 지역 및 업종 변경 지원 등도 추진한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