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문

menu search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시민과 함께 걷는 부산”… 부산시, 보행권리장전 채택

보행약자 이동권 확보 위해 110억 투입 취약지역 개선
송진영 기자 roll66@kookje.co.kr | 2019.09.17 20:25
부산시가 장애인을 비롯한 보행 약자의 이동권을 확보해 ‘시민과 함께 걷는 부산’을 만들겠다고 선포했다. 시는 특히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시민이 주도한 보행권리장전을 채택하면서 ‘보행 친화 도시’ ‘사람 중심의 보행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 의지를 재확인했다.

오거돈 시장은 17일 시청 앞 시민광장에서 ‘시민 보행권 확보 및 함께 걷는 부산’ 선포식을 열어 보행권리장전과 보행 약자의 이동권 확보 대책을 발표했다. 선포식에는 김석준 시 교육감과 이성숙 시의회 부의장도 참석해 뜻을 같이했다.
 ‘보행권 회복을 위한 시민모임’이 제정을 주도한 보행권리장전은 보행권을 인간 생활의 기본권이자 누구나 평등하게 보장받아야 할 권리로 규정했다. 또 보행자는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 속에서 건강을 지키고 행복을 누릴 권리가 있으며, 보행로는 어디든 연결되고 누구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시가 올해 1호 정책으로 추진한 보행 혁신 종합대책의 근간이 되는 대원칙을 시민사회가 보행권리장전으로 성문화했고, 시가 이를 공식적으로 채택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시와 시민모임은 시민광장 바닥에 동판을 설치해 부산시민 보행권리장전을 새겼다. 시민과 함께 부산지역 명물인 갈맷길을 조성한 국제신문도 올해 신년 기획 시리즈 ‘부산을 보행 친화 도시로’ 보도를 통해 ‘시민 보행권의 최우선 보장’이라는 화두를 제시했다.

오 시장은 장애인 보행 밀집지역 130곳에 110억 원을 단계적으로 투입해 보행 약자의 이동권을 확보하는 대책도 내놨다. 지난 2월 영도구에서 전동휠체어에 탄 장애인 모자가 교통사고로 숨진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한 이후 시가 역점적으로 마련한 방안이다. 시는 무장애 보행길 선도 사업장으로 영도구 와치공원과 북구 뇌병변복지관, 사하구 몰운대아파트 일원을 지정한다. 이어 사업 추진 단계부터 설계·공사·검사 등 모든 공정에 장애인이 참여하도록 해 ‘부산형 무장애 보행 구역 표준 모델’을 만든다는 게 이번 대책의 핵심이다.
이와 함께 오 시장은 장애인 눈높이에서 보행 환경의 문제점을 찾고자 장애인과 시민단체, 공무원 등 16개 구·군에서 90여 명으로 구성된 ‘보행권 지킴이단’을 18일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시는 또 보도 시공을 담당한 공무원의 실명제를 강화하는 등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로를 조성하는 데 고삐를 죈다.

오 시장은 “민선 7기 시정의 최고 핵심 가치는 사람이며, 핵심 목표는 미래 도시이자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해 걷기 좋은 부산을 만드는 것”이라며 “‘함께 걷는 시민이 행복한 부산’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송진영 기자 roll66@kookje.co.kr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관련기사
국제신문 뉴스레터
당신의 워라밸 점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