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공약인 기초연금 도입 후퇴와 관련해 사의를 밝혔던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29일 장관직 사퇴의사를 거듭 밝히며 '버티기'에 들어가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사표 수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각료 제청권자인 정홍원 국무총리를 통해 사표를 반려하는 등 업무복귀를 촉구했음에도 불구, 진 장관이 이날 "그만 사의를 허락해 달라"며 사퇴의지를 재차 확인해서다.
진 장관이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월 20만원을 지급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 후퇴와 관련해 사의를 표할 것이라는 소식은 진 장관이 사우디 아라비아를 방문 중이던 22일 언론보도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이후 진 장관은 25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사퇴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 저를 믿고 맡겨준 대통령에 대한 도리이고 책임있는 일이라 생각한 것은 맞다"며 사퇴의사를 확인했다.
내각을 통할하는 정홍원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 장관을 면담하고 "없던 일로 하겠다"며 장관직을 유지하도록 당부했다.
박 대통령도 26일 국무회의에서 기초연금과 관련해 국민에게 사과하면서 국무위원들에게 '사명과 책임을 다해 달라'고 언급, 회의에 참석했던 진 장관의 장관직 수행을 에둘러 거론했다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이 같은 만류에도 불구하고 진 장관은 27일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사퇴의사를 재확인했고, 이에 정 총리는 곧바로 보도자료를 내 사표를 반려했다. 정 총리는 주말인 28일에도 업무복귀를 촉구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새 정부 첫 정기국회가 진행 중이고 국정감사를 앞두고 있는 만큼 여당 정책위의장과 인수위 부위원장을 맡았던 진 장관이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한 것이다.
주변과의 연락을 끊고 '잠행'하던 진 장관은 29일 오전 복지부 직원 결혼식장에 나타났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식으로 사퇴의사를 재확인했다.
진 장관이 업무복귀를 거부함에 따라 다음 달 1일 국회 긴급현안질의에는 이영찬 복지부 차관의 대리출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