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1일 민주당 양승조, 장하나 의원의'막말 논란'의 배후로 지난해 민주당 대선후보를 지낸 문재인 의원을 지목하며 문 의원의 입장표명을 요구하는 등 압박 공세에 나섰다.
민주당에 대해서도 "추후 당의 단결을 해치거나 당의 이해와 배치되는 언행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임할 것"이라는 전날 김한길 대표의 언급을 '유감표명'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이들 두 의원에 대해서는 민주당이 취할 조치가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차제에 민주당 내 대선불복 주장에 쐐기를 박고, 나아가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 요구까지 무력화하려는 양수겸장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황우여 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문 의원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차제에 분명히 밝혀 다시는 대선불복 정쟁이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배후 조종자로 지목되고 있는 문 의원은 입장을 분명하게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가세했다.
최 원내대표는 양승조, 장하나 의원의 '사죄'를 촉구하는 한편 민주당에 대해서도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민주당 강경세력은 계속 대선 불복을 외치고 있고, 지도부는 개인의 일탈이라며 마지못해 유감 표명을 하는 것을 보며 민심 간보기를 하는 할리우드 액션이라는 의심이 짙게 드는 것도 사실"이라고도 지적했다.
강은희 원내대변인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문 의원은 그동안 '대선은 불공정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 수혜자다' 등 대선불복에 가까운 발언을 계속했다"면서 "문 의원이 명쾌하게 정식으로 말씀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계속된 대선불복 발언과 특검을 연계해 정략적으로 이용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드러났다"면서 "게릴라식으로 치고 빠지기를 하면서 국가를 혼란에 빠뜨리고 국론을 분열시키는 행태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민생법안과 예산안 연내 처리에 대한 압박도 계속했다.
황 대표는 "다급한 민생과 예산을 위해 이런 상황에서도 국회 정상화에 새누리당이 앞장서는 충정을 민주당은 헛되게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인제 의원은 "예산안이나 부수법안은 올해 안에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갖고 야당과 대화하고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서청원 의원은 막말 논란에 대해 "용서하기 어렵다"면서도 "야당 수뇌부에 촉구할 것은 계속하되 국회는 정상화로 가는 게 우리가 여당으로서 포용력이 아닌가 생각을 한다"면서 신축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