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일 오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교육자치관련법 소위원회에서 참석 의원들이 자료를 살피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 일부법률개정안과 시·도위원 선거구 획정안을 논의했다. 연합뉴스 |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로또 교육감' 논란을 빚은 교육감 직선제 폐지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새해 벽두 여당에서 시도 교육감 직선제가 지닌 문제점을 들어 러닝메이트나 임명제 등을 검토하고 나섰다. 이에 야당 측은 직접선거와 민주적 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행 직선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새해부터 정치권과 교육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이 같은 공방은 이번 지방선거을 앞두고 여야 간 이해득실 문제로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여야는 여론의 향배 관심을 두고 있는 눈치다.
국회 정치개혁특위 교육자치관련법소위는 9일 첫 회의를 열어 시도 교육감 선거 등 지방교육자치 선거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은 정당공천이 배제된 현행 직선제 교육감 선거는 문제가 많은 만큼 광역시장과 도지사 후보자와의 러닝메이트나 임명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한 반면 민주당 의원들은 헌법 정신과 가치에 반하는 주장이라면서 현행 직선제 유지를 주장했다.
새누리당 박대동 의원은 "직선제 교육감이 인사권을 장악해 제왕적 지위를 이용하고 그로 인한 부작용이 크다는 국민의 지적이 따갑다"며 "교육감 러닝메이트나 공동등록제 등 다른 대안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외국 사례처럼 의회 승인을 받는 조건부 임명제 등도 대안으로 가능한지 다각적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성완종 의원은 "교육감을 임명제로 가는 것이 헌법 정신에 일치되는 부분이 있다"면서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법과 시·도지시가 임명하는 방법이 있는데 시·도지시가 임명하면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가이드라인이나 사전심사위원회 등을 둬서 냉정하게 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 윤후덕 의원은 "직선제는 직접선거로 국민, 주민들로부터 민주적 정통성을 확보하는 아주 중요한 제도적 장치다. 간선제나 임명제보다 더 확실한 책임과 민주적 권리를 확보하는 좋은 제도"라면서 "현행 직선제가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새누리당이 교육감 러닝메이트제, 임명제 등을 말하는 것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규정한 헌법 정신과 가치에 반하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도종환 의원은 "현행 직선제는 비리선거나 로또선거 등의 문제가 나오고 있지만, 이는 선거공영제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교육감 선거는 현행 직선제가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소위에 출석한 나승일 교육부 차관은 "교육감 선거에서의 러닝메이트 도입은 위헌성 여부도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다만 정책협력 등은 검토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