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류측 해당행위 규정 충돌 우려
- '물갈이 피하려는 꼼수' 지적도
여야 합의실패와 이에따른 새누리당의 사실상 포기로 물건너간 것으로 판단됐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문제가 또다시 쟁점화될 조짐이다. 이번에는 새누리당이 아니라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불이 지펴지고 있다.
다만 야당의 당내 '공천 룰' 갈등 연장선상에서 제기된 측면도 없지 않아 여야간 재논의 수준까지 연결될 지는 미지수다.
이번 논란은 새정치연합 최규성 의원이 소속 의원들로부터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를 요구하는 서명을 받아 이를 법안과 함께 지난 17일 이종걸 원내대표에게 전달하면서 촉발됐다. 해당 법안에는 5대범죄(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전과자를 제외하고는 당원 누구나 완전국민경선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으며, 이해찬 전 대표나 안철수 전 대표 등 계파를 불문하고 79명이 서명에 동참했다.
이 원내대표는 18일 "다수 의원들이 선거와 관련된 중요사항을 놓고 의총 소집을 요구한 만큼, 다음 주 정책의총을 열어 논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친노 주류측에서는 혁신안이 이미 추인됐고 선출직평가위원회 구성이 완료된 상황에서 의총 소집을 하는 것 자체가 또다시 당을 흔드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어 내부 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주류측은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에 대해서는 "평가위를 무력화한 시도", "물갈이를 피하려는 꼼수"라고 강력 비판하고 있다.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가 선출직공무원 평가위원장으로 임명돼 물갈이가 가시화되자 탈락위기에 놓인 의원들의 집단 반발이 아니냐는 지적도 없지 않지만, 야당 의총에서 당론으로 확정될 경우 '오픈프라이머리'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