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제수용 생선만 반짝 수요…방사능 불안에 썰렁

자갈치·부전시장 르포

  • 윤정길 기자 yjkes@kookje.co.kr
  •  |   입력 : 2013-09-16 21:10:33
  •  |   본지 22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추석을 사흘 앞둔 16일 자갈치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불안 심리가 확산되면서 단대목을 맞은 전통시장에도 소비자들의 발걸음이 끊어져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김동하 기자 kimdh@kookje.co.kr
- 추석 대목에도 손님 발길 뚝
- 상인들 "일본산 없다" 호소
- 수산물 매출 급감에 긴 한숨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유출 사태로 촉발된 수산물 불안 심리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지난 6일 뒤늦은 정부의 일본 후쿠시마와 주변 7개 현의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와 허남식 부산시장과 국회의원 등 민심 달래기용 수산물 시식 체험 이벤트는 '당연히' 효과가 없었다.

제수용 생선 수요가 급증하는 추석 대목임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 상인들은 긴 한숨만 내쉬고 있다. 상인들은 '결백'을 항변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16일 오전 중구 자갈치시장은 추석을 사흘 앞둔 단대목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한산했다. 추석이나 설을 앞두고 거리를 가득 메운 인파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일본산은 없다고 해도 도무지 믿지를 않아. 제사상에 올릴 생선도 딱 3마리만 사가. 젊은 주부들은 얼마나 까탈스럽게 구는지 몰라." 상인들은 정부의 늑장 대처와 애궂은 매스컴의 보도만 질타할 뿐이었다. 

자갈치 시장에서 대를 이어 40년째 수산물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한 상인은 단골손님 덕분에 그나마 좀 나은 편이다. 그는 "연세가 많은 단골 손님들은 그렇게까지 (방사능 사태를) 우려하지 않는다"면서 "지금은 추석을 앞두고 제수용 생선은 반짝 수요가 있지만, 추석이 끝나면 다시 수산물 소비가 급감할 것"고 말했다. 이 상인은 지금보다 추석 이후를 더 걱정했다.

부전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날 오후 부전시장은 제수용품을 마련하기 위해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이 많았지만, 수산물 가게만은 활기가 없었다.

한 상인은 "지난 설에 비하면 절반도 안 나간다. 자식들이 생선 많이 사지 말라고 해서 장보러 나온 부모들이 딱 필요한 것 몇 마리만 사간다"면서 "어떤 집은 제사만 지내고 안 먹고 버릴 거라면서 씨알이 작은 것만 골라 찾는다"고 말했다.

제수용품 장만을 위해 시장을 찾은 박모(여·52) 씨는 "불안하기는 하지만 제사는 지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올해는 조기만 몇 마리 올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형마트도 추석을 앞두고 조기 등 일부 제수용 생선만 판매가 늘고 있을 뿐 전체적으로 생선 매출은 저조한 편이다. A마트의 경우, 이달 들어 수산물 전체 판매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등어와 갈치 등 생선 판매는 6.6% 줄었다. 또 굴비나 갈치 등 선물세트도 전년 대비 10% 정도 빠졌다. 다만, 제수용 생선인 조기는 120% 가까운 반짝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로 일부 제수용 생선은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자갈치시장의 한 상인은 "일본에서 공급이 많던 도미가 수입금지 조치로 인해 가격이 배 이상 폭등하고 있다. 한 마리 위판가가 6만 원을 넘는 것도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기고] 부산에서 꿈을 이룬 대만 유학생, J양의 이야기
  2. 2오륙도선 예타 탈락…양당 시당 네탓 공방
  3. 3부산해양경찰서장 서정원 총경 취임
  4. 4박형준 대선 불출마…3선 연임 집중할 듯(종합)
  5. 5양자컴, 해양인재…‘부산형 라이즈’ 122개 사업 닻 올린다
  6. 6“원자력·재생에너지 조화가 탄소중립의 핵심”
  7. 7이정후 또 3안타 폭발…ESPN “NL 타격왕 예상”
  8. 8428살 기장 곰솔, 올해의 나무 선정
  9. 9사그라들지 않는 ‘한덕수 출마설’(종합)
  10. 10韓 WBC ‘죽음의 조’…일본·대만 등과 C조
  1. 1오륙도선 예타 탈락…양당 시당 네탓 공방
  2. 2박형준 대선 불출마…3선 연임 집중할 듯(종합)
  3. 3사그라들지 않는 ‘한덕수 출마설’(종합)
  4. 4김문수 지지와 한덕수 추대론…박수영의 두 토끼 몰이
  5. 5부산 민주당 대선모드…전재수 “출마여부 14일까지 고심”
  6. 6국힘 대선후보 1차 경선 4인→ 2차 2인 압축(종합)
  7. 7李 “먹사니즘으로 경제성장”(종합)
  8. 8尹 11일 오후 5시 관저 떠난다(종합)
  9. 9韓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종합)
  10. 10헌재, 박성재 탄핵소추 기각 “안가회동, 내란 관여 아냐”(종합)
  1. 1“원자력·재생에너지 조화가 탄소중립의 핵심”
  2. 2“부산시민 공기업 해진공, 해양금융 확대”
  3. 3“부산 분산특구 지정 땐 에너지 신산업 거점 가능”
  4. 4봄맞이 인테리어 소품 쏟아진다
  5. 5중국 84% 맞불 관세…WTO “세계 GDP 7% 줄어들 것”
  6. 6증시 뒤흔든 ‘트럼프의 입’…코스피, 매수 사이드카(종합)
  7. 7“소형원자로 활용도 높이고 재생에너지도 확대를”
  8. 8“무탄소 풍력 발전, 지역 에너지 자립도 향상 기여”
  9. 9[차호중의 재테크 칼럼]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
  10. 10KRX 퓨처스타 35인에 도전하세요
  1. 1부산해양경찰서장 서정원 총경 취임
  2. 2양자컴, 해양인재…‘부산형 라이즈’ 122개 사업 닻 올린다
  3. 3428살 기장 곰솔, 올해의 나무 선정
  4. 4수로왕 만나러 가세…가야문화축제 개막
  5. 5교육청 국·과장급 21명 교체…김석준 벌써 두 번째 인사
  6. 6“고령운전자 돌발상황 0.47초 반응 느려” 부산만 34만 명(종합)
  7. 7부산시, 보호 종료된 자립 청년 보증금 등 지원
  8. 8“해수 에너지산업에 관심을”…“탄소중립 시민캠페인 열자”
  9. 9경남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창원서 첫 삽
  10. 10①폐장난감 순환 ②스마트팜 ③걷기로 환경 지키는 이들
  1. 1이정후 또 3안타 폭발…ESPN “NL 타격왕 예상”
  2. 2韓 WBC ‘죽음의 조’…일본·대만 등과 C조
  3. 3정현·권순우 경기 스포원서 직관
  4. 4아이파크, 13일 홈서 이랜드와 경기
  5. 52028 LA올림픽 골프 혼성 단체전 추가
  6. 6화려한 피날레 김연경 “V리그 별 추가해 다행”
  7. 7아깝다 이정후, 9경기 연속안타 불발
  8. 8롯데 안방은 빌려줘도, 승리는 절대 못 내줘
  9. 9디펜딩 챔프가 어쩌다…KCC 초라한 성적표
  10. 10아이파크 U15 WFC, 춘계연맹전 첫 승 도전
2025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하역장비 자동화 위주 진행…데이터 종합 플랫폼 시급
불황을 모르는 기업
‘턱관절 치료 가전’ 정식 출시도 전에 美서 주목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