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형주에 영업실적도 부진
- 기관들 팔 때 개미들은 순매수
- 주가변동률은 62%→25% 줄어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도 테마주는 '개미들의 무덤'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 테마주에 손댔던 개인투자자는 평균 약 61만 원을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대선 테마주를 사고판 이들 중 개인투자자 비중이 96.6%에 달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한국거래소가 지난 9일 대선이 치러지기 전 1년간(2016년 5월 10일~2017년 5월 8일)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224종목에 대한 거래를 분석한 결과다.
개인투자자는 주가가 상승하는 시기에 테마주를 지속적으로 순매수했던 반면 기관 등 다른 투자자는 이때 주식을 팔면서 이익을 챙겼던 것으로 조사됐다.
개미들의 성적표는 초라했다. 개인투자자는 이 기간 전체 테마주의 83.0%인 186종목에서 손실을 입었다. 계좌당 평균 61만7000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들이 투자한 정치테마주는 주로 중·소형주였다. 코스피 정치테마주는 평균 자산총액이 2710억 원으로 일반 종목(2조4296억 원)의 11.2%에 그쳤다.
코스닥에서도 테마주 평균 자산총액은 879억 원으로 일반 종목(1554억 원)의 56.6%였다. 테마주 평균 시가총액도 1022억 원으로 시장 전체 평균 시총의 12.5%에 불과했다.
이들 테마주는 영업실적도 부진한 경우가 많았다. 테마주 평균 매출액은 코스피시장 2363억 원, 코스닥시장 728억 원으로 각각 해당 시장 일반 종목의 13.7%, 65.2%였다. 코스피 테마주는 평균 118억 원의 영업손실과 70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코스닥 테마주는 영업이익(19억 원)과 당기순이익(3억 원) 규모가 일반 종목의 28.4%, 8.3% 수준에 그쳤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금융감독원, 검찰, 한국거래소와 함께 '시장질서확립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면서 이번 대선에서 이상급등하는 정치테마주를 조기 진화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5년 전 제18대 대선 당시 정치테마주의 주가변동률은 62.2%였지만 올해는 25.0%로 크게 줄었고, 대부분 주가 상승이 2일 이내 종료돼 연속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재 정치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돼 조사를 마쳤거나 진행할 예정인 종목은 48개 정도다"면서 "대선 이후에도 당분간 정책테마주 등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박지현 기자 anyway@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