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115조 지뢰? 2금융권 PF 역대 최대

보험·증권·저축銀 등 위험노출액 5년전 대비 최대 4.3배 등 급증

  • 박태우 기자 yain@kookje.co.kr
  •  |   입력 : 2023-03-26 19:15:31
  •  |   본지 15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연체율은 전년比 배 이상 올라
- 한은·당국, 선제적 관리 독려

부실 위험이 있는 2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규모가 115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다. 연체율도 전년보다 배 이상 치솟았다. 우리나라 경제 순항이 ‘115조 원 시한폭탄’ 처리에 달렸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보험 증권 여신전문(카드·캐피탈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2금융권) 금융사의 부동산PF 익스포저(대출·보증 등 위험 노출액) 규모는 115조5000억 원(대출 91조2000억 원 + 채무보증 24조3000억 원)에 이른다. 2017년 말을 100으로 할 때 업권별 익스포저는 여신전문금융사 432.6, 저축은행 249.8, 보험사 204.8, 증권사 167.0으로 집계됐다. 5년 전보다 각각 4.33배, 2.50배. 2.05배, 1.67배로 급증했다. 한은 관계자는 “거의 모든 2금융권 익스포저가 사상 최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체율 상승세도 심상찮다. 증권사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3.7%에서 지난해 9월 말 2.2배가 넘는 8.2%로 뛰었다. 같은 기간 여신전문금융사(0.5% → 1.1%) 저축은행(1.2% → 2.4%) 보험사(0.1% → 0.4%)의 연체율도 급등했다. 2011년 PF 관련 부실이 터져 무더기 영업 정지를 맞은 저축은행의 연체율(2.4%)은 2018년 12월(5.5%) 이후 가장 높다.

한은과 금융당국은 선제적 관리를 독려하고 있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부실 우려 PF 사업장의 정리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24일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너무 쏠림이 생기거나 일시에 리스크가 발생해 특정 기업, 건설사의 ‘트리거 포인트(통증 유발점)’로 작용하지 않도록 리스크 분산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권의 부동산PF 대출도 2020년 이후 급증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4조6645억 원에 이른다. 2020년 말(9조2532억 원)과 비교하면 2년 사이 58.5%나 늘었다. 은행권은 연체율이 0%에 가깝고, 대부분 선순위 보증을 바탕으로 한 대출이라는 점 등을 이유로 2금융권과는 사정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자체적으로는 선제적 관리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KB금융그룹은 지난 13일 약 5000억 원 규모 부채담보부증권(CDO) 발행을 통한 부동산PF 시장 유동성 지원 방안을 내놨다. CDO는 금융사 대출채권 등을 기초 자산으로 삼아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유동화) 파생상품이다. 신한은행도 신규 자금 2500억 원에 브리지 대출 만기 연장 3000억 원을 더해 5500억 원을 지원한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광안대교 하이패스 없이도 자동요금 징수…사전등록 100원 할인
  2. 2인구소멸 위기 부산 중구 “모든 출생아에 1000만원”
  3. 3수영만 요트장, 해양문화복합공간으로 거듭난다
  4. 4대저 짭짤이, 폭염 덕에 수익도 짭짤했네
  5. 5[진료실에서] 노년층 손 덜덜 떨리면 파킨슨병? 비슷한 듯 다른 ‘본태성 떨림’
  6. 6스타벅스 톨 사이즈 음료, 24일부터 22종 가격인상
  7. 7상가 2.6배로 넓히되 높이 2층 제한…방파제 야간 조명도
  8. 8단일화 가시밭길…부산교육감 주자들 합종연횡 촉각
  9. 9'기장군수 누나' 내세워 곗돈 17억 가로챈 60대 항소심도 중형
  10. 10유상증자 철회 금양, 해외투자 유치 추진
  1. 1“영장판사실 노린 계획적 습격”…직원, 자판기로 문 막고 저항
  2. 2정권연장 48.6% 교체 46.2% 팽팽…국힘 지지율 46.5% 5주 연속 상승
  3. 3與 “분노 원인 안 살피고 폭도 낙인”…野 “사법부 판단 부정·선동한 與 탓”
  4. 4일부 국민의힘 김해시의원 ‘빨갱이 운운 발언’ 파문
  5. 5野 “민생과제 10개 법안 신속처리”…외연확장 주력
  6. 6尹측 "국민에 망국적 행태 알리려 국회에 군 투입… 한동훈 사살지시 황당”
  7. 7與 “내란특검도 조기대선용”…이재명 사법리스크 집중 부각
  8. 8선관위 “모든 사람·기관 합심해야만 가능”…尹측 ‘부정선거 주장’ 반박
  9. 9국회측 "尹 사법시스템 부정이 폭동 사태 불러…신속 파면해야"
  10. 10[속보] 尹대통령 “비상입법기구 쪽지 최상목 준 적 없다”
  1. 1스타벅스 톨 사이즈 음료, 24일부터 22종 가격인상
  2. 2유상증자 철회 금양, 해외투자 유치 추진
  3. 3성장 둔화 카드사, 고객 홀대…6개월 무이자 할부 또 없앴다
  4. 4한은 “계엄사태, 환율 30원 올리고 성장률 0.2%p 낮춰”
  5. 5부산신보 ‘코로나 청구서’ 2007억 변제
  6. 6트럼프 취임 첫날 韓경제·업계 '혼란'…정부 "대표단 美 급파"
  7. 7최상목 "美 행정명령 우리 경제에 영향…곧 트럼프와 통화"
  8. 8원안위 "고리원전 1호기 해체, 올해 상반기 중 승인 완료"
  9. 9트럼프 취임 첫날 요동친 투심, 환율 하락에·증시는 약보합
  10. 10경기이상 신호 지속…중견기업 절반 “올해 투자계획 없다"
  1. 1광안대교 하이패스 없이도 자동요금 징수…사전등록 100원 할인
  2. 2인구소멸 위기 부산 중구 “모든 출생아에 1000만원”
  3. 3수영만 요트장, 해양문화복합공간으로 거듭난다
  4. 4대저 짭짤이, 폭염 덕에 수익도 짭짤했네
  5. 5상가 2.6배로 넓히되 높이 2층 제한…방파제 야간 조명도
  6. 6단일화 가시밭길…부산교육감 주자들 합종연횡 촉각
  7. 7'기장군수 누나' 내세워 곗돈 17억 가로챈 60대 항소심도 중형
  8. 8국어·수학·탐구 선택과목, 2028년도 수능부터 폐지
  9. 9국제신문은 ‘부산 공동체’의 거울
  10. 10유튜버 등 난동 66명 구속영장
  1. 1KLPGA 4월 부산서 국내 개막전
  2. 2‘윤나고황’·손호영 억대 연봉 진입
  3. 3손흥민 침묵한 토트넘, 리그 3연패 수렁
  4. 4“내 강점은 핸들링·빠른발”…군필 기대주 롯데 한태양 [부산야구실록]
  5. 5롯데 대만·미야자키 전훈 41일 여정
  6. 6선두 BNK 겹경사…김소니아, 2회 연속 라운드 MVP
  7. 7고승민 등번호 2번…65번은 이적생 정철원에 양보
  8. 8복귀한 김민재…뮌헨 4연승 기여
  9. 9“이제야 선수답다고 생각…올핸 꼭 가을야구”…롯데 ‘복덩이’ 손호영 [부산야구실록]
  10. 10걸그룹 댄스, 팬과 덩크쇼…사직체육관 웃음만발
국내 첫 분산특구 부산이 잡는다
전기료 1% 줄면 GRDP 0.01% 늘어…고용창출 기폭제
가덕신공항은 부산발전 새 터전
亞물류허브·공항경제권 구축 등 촘촘하고 정밀한 활용 방안 짜야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