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일원에서 두 차례 큰 지진이 잇달아 발생한 것과 관련해 정부기관과 지자체가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생략한 채 무조건 대피하라는 식의 안내문자를 발송해 오히려 혼란과 불안감만 부추겼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지난 19일 오후 8시33분 경주 남남서쪽 11㎞ 지점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지난 12일 발생한 규모 5.8의 것보다는 덜했지만, 경주와 인접한 울산지역에서는 '쿵' 하는 진동음과 함께 건물이 흔들릴 정도로 강도가 셌다. 놀란 시민들은 집 밖으로 뛰쳐나가 불안감에 떨었다.
하지만 일주일 전 지진 당시와 마찬가지로 주무부처인 국민안전처와 울산시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시민들에 보낸 안내문자는 도움이 안 됐다.
이날 오후 8시48분 발송된 국민안전처 휴대전화 안내문자 내용은 지진 발생 시간과 위치, 규모와 함께 '여진 등 안전에 주의 바란다'는 내용이 전부였다. 이후 울산시가 국민안전처를 통해 보낸 안내문자 역시 '일단 귀가해서 재난방송을 청취하라'는 게 고작이었다.
이 때문에 놀란 시민들은 허둥대기만 했다. 문자 메시지를 접한 시민들은 급하게 택시를 잡느라 승강장이 북새통을 이뤘다. 대리운전업체들은 폭주하는 전화에 진땀을 흘려야 했다. 학교 현장도 다르지 않았다. 울산시교육청이 야간자율학습을 중단하고 귀가 조처를 지시하자 고교 정문 앞길마다 자녀를 태우러 일시에 몰려든 학부모들의 차량이 뒤엉켜 큰 혼잡을 빚었다. 일부 학부모는 "학교와 교육청이 학생들 안전보다는 책임질 일이 생길까 봐 회피하려고 이 같은 조처를 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같은 울산이라도 공단이나 주거지 등 지역별로 매뉴얼과 대피처가 달라야 하는데 이런 내용이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방종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