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산지역 대기 환경 중금속 농도가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산 해운대와 광안리 일대 전경. 국제신문 DB |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환경·건강취약 지역의 ‘대기 환경 중금속 농도’를 조사한 결과 국내 환경기준과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대기 환경 중금속 농도 조사는 포집한 미세먼지(PM-10) 내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는 환경오염 노출 지역(5곳) 건강취약지역(4곳) 주거밀집지역(1곳)의 미세먼지 내 중금속 20종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납(Pb)의 연평균 농도는 국내 대기환경 기준의 2.3% 수준이었고 카드뮴(Cd)과 망간(Mn) 농도 역시 각각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의 13.2%, 10.7% 수준으로 나타나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대비 미세먼지 농도는 9% 감소했고, 대기 환경 중금속 농도도 22% 줄어드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환경오염 노출 지역 중 사하구 장림동, 강서구 녹산동, 사상구 덕포동에서 중금속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거밀집 지역인 해운대구 좌동은 비교적 낮은 농도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대기 환경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