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보건긴급위 과반 부정의견
- 사무총장은 사상 7번째 선포
- “새 전파방식에 선제대응 필요”
전 세계 70여 개국에서 발병한 원숭이두창에 대해 23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가 최고 수준의 공중보건 경계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 로이터통신 가디언 등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원숭이두창에 대해 PHEIC를 선언한다고 밝혔다. 현재 코로나19와 소아마비에 대해 유지되는 PHEIC에 원숭이두창이 추가된 것으로, WHO는 질병 억제를 위한 연구와 자금 지원, 국제적 보건 조치 등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왜 선언했나
국제 보건 긴급위원회가 지난 21일 원숭이두창에 대한 PHEIC 선언 여부를 놓고 회의를 열었는데, 15명 위원 중 6명은 찬성했지만 9명은 부정적이었다. 전원 찬성은커녕 과반의 부정 의견에도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이례적으로 PHEIC를 선언했다. 그는 “위원들의 관점이 엇갈렸고 쉽고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었던 점도 알지만 원숭이두창은 우리가 잘 모르는 새로운 전파 방식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숭이두창의 확산 정도나 치명률 등이 PHEIC를 선언할 요건을 갖췄는지를 두고는 논란이 있지만 더 많은 국가로 확산하기 전에 전 세계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는 질병이라고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이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WHO는 현재 75개국 1만6016명의 원숭이두창 감염을 확인했다. 이 중 4132명이 지난 7일 동안 발생했다.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50여 개국 3000여 명 선이었는데 급등세가 두드러진다. 지역별로는 유럽이 1만1865명으로 가장 많다. 전체 사망자는 5명이다. 우리나라에선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지난 7일 격리 해제돼 퇴원했다.
지금까지 PHEIC가 선언된 건 모두 7차례다. 첫 선언은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H1N1)였다. 당시 멕시코와 미국에서 시작된 이 질병이 유럽과 아시아 등지로 번지자 선포됐는데, 2010년 8월 선언이 종료되기까지 1년여간 신종 인플루엔자 A로 사망한 사람은 1만8000여 명에 달했다. 두 번째 PHEIC는 2014년 5월 파키스탄 카메룬 시리아 등을 중심으로 소아마비 바이러스가 확산됐을 때 내려졌다. 세 번째는 같은 해 8월 서아프리카에서 시작된 에볼라 바이러스였고, 2019년 이 바이러스가 콩고민주공화국에 재출현했을 때 다시 한번 PHEIC가 선포됐다. 2016년 신생아의 소두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에 이어 2020년 코로나19 때도 PHEIC로 선언됐다.
■증상과 치료는
원숭이두창은 원래 중서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견되던 풍토병으로, 1958년 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되면서 명명됐다. 지난 5월 6일 영국 런던에서 풍토병 지역을 떠난 첫 사례가 발견됐고, 이후 두 달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중이다. WHO는 주로 동성과 성관계한 남성에게서 발병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밀접접촉을 통해 누구나 감염될 수 있다고 전문가는 경고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호흡기 분비물 또는 발진, 오염된 의류를 직접 만지는 행위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초기 증상으로 발열 두통 근육통 임파선염 오한 피로감 등이 나타나고, 발진은 얼굴에서 시작해 생식기 등 다른 신체 부위로 퍼진다. 헤르페스 매독 등 일반 성병과 증상이 비슷해 그냥 지나칠 위험이 있다. 이에 피부에 붉은 병변이 올라오면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아 판별해야 한다.
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서아프리카 변이와 좀 더 심한 콩고 변이로 나뉘는데, 현재 사태는 서아프리카 변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환자 대부분은 특별한 전용 치료 없이 회복한다. 발열 등 경미한 통증에는 해열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면 된다. 다만 최근 중증 환자가 늘어나는 점은 우려된다. 증상이 심한 고위험군은 원숭이두창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 ‘테코비리마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고위험군에는 백신 접종도 권고된다. 3세대 두창 백신 ‘진네오스’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