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1997년 동아시아 경기대회를 개최한 데 이어 2002년 아시안게임을 개최하면서 올림픽 유치에 대해 꾸준한 관심을 보였다. 먼저 부산은 201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희망했지만 강원도 평창이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선 데다 정부의 방침이 동계 올림픽 개최로 기울면서 뜻을 접어야 했다. 이후 평창이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실패하면서 부산은 2020년 하계올림픽을 유치하려 했으나 평창이 느닷없이 동계올림픽 유치 '삼수 도전'에 나서면서 다시 한 번 그 기회를 놓치게 됐다.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가 성사된 뒤 최근 주경기장 위치를 놓고 강릉과 평창이 벌인 신경전은 유감이다. 논란 끝에 평창에 주경기장을 새로 짓기로 했지만 잘못된 결정으로 판단된다. 기존 강릉 경기장을 개·보수하면 막대한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동계올림픽은 하계올림픽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다. 또 우리나라의 겨울이 길지 않기 때문에 일부 동계올림픽 경기장은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하기 어렵다. 반면 하계올림픽 경기장은 대회가 끝난 뒤 많은 사람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동계올림픽보다 하계올림픽을 개최하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부산은 하계올림픽 유치의 긍정적·부정적 효과에 대해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4년 전 마련한 부산시의 '2020 부산하계올림픽 개최시설 확보 및 배치 기본계획 수립'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올림픽 개최를 위해서는 32개 경기장이 필요하다. 이 가운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기준에 만족하는 경기장은 김해 창원 울산 등 인근 도시 경기장을 포함해 14개에 그친다. 나머지 9개 경기장은 증축이 필요하고 9개 경기장은 영구시설 또는 가변시설로 신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재원으로는 경기장, 도로, 환경 개선 등의 직접투자비 1조4485억 원, 선수촌 및 기자촌 등 간접투자비 1조8687억 원, 행사·수송·홍보 등의 대회운영비 1조3886억 원 등 총 5조7058억 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더 많은 재원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효율적으로 경기장을 배치하고 사후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계획한다면 결코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올림픽의 수익 구조는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TV 중계권, TOP 프로그램, 지역 스폰서, 상품화권, 경기장 입장수입 등이 있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 당시 조직위원회(OCOG)는 약 1조9000억 원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배분 받았고 약 7000억 원의 부가적 수입을 올리는 등 총 2조6000억 원을 이벤트 자체로 충당했다.
최근 아시안게임을 끝낸 인천이 부산의 지역구 국회의원을 체육특보로 임명하면서 괜한 오해를 사고 있다. 체육을 했다고 해서 모두 체육을 잘 아는 것이 아니다. 특히 해당 국회의원은 운동으로는 태권도 선수 출신이고, 학문으로는 운동생리학 전공자이다(표절 문제는 논외로 한다). 다시 말해 스포츠이벤트의 성공적인 개최와는 거리가 먼 전공자이다. 결국 선수 IOC 위원으로서 다른 위원들과의 친분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특보에 앉힌 것으로 보인다.
논란이 커지면서 인천시가 올림픽 유치를 검토한 적이 없다고 하니 더는 인천에서 올림픽 이야기가 나오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부산은 하루빨리 올림픽 개최의 득과 실에 대해 철저한 검증을 해나가야 한다. 득이 크다고 판단되면 부산시민의 총력 지원 아래 올림픽 유치 운동에 매진해야 한다. 반면 잃는 것이 더 많다고 판단되면 인천에 양보할 수도 있다.
부산대 체육교육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