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아낌없이 먹거리를 내주는 풍요로운 곳간이다. 그물을 던지면 물고기가 가득 올라왔다. 그런데 언제부터 인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자 대형 열대 해파리가 우리 바다로 몰려들어 그물은 ‘물고기 반, 해파리 반’으로 채워졌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가 늘어나자 그물은 ‘물고기 반, 쓰레기 반’이 돼버렸다.
플라스틱의 발명은 인류 생활을 바꾸어 놓은 큰 사건이다. 인류 역사는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로 이어져 왔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지금 플라스틱시대에 산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예전에는 유리 나무 쇠 등 자연 친화적인 재료로 생활용품을 많이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플라스틱이 세상에 나온 이후로는 거의 모든 소재가 플라스틱으로 대체되고 있다. 유리나 쇠, 도자기 컵은 플라스틱 컵으로, 나무나 쇠젓가락도 플라스틱 젓가락으로 바뀌었다.
통계를 보면 플라스틱 사용량이 얼마나 많은지,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는지 가늠이 된다. 1950년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150만 t이었으나, 65년이 흐른 2015년에는 215배 증가하여 3억2000만 t에 달했다. 이러한 추세는 점점 더 가파르게 늘고 있으며, 오는 2050년에는 18억 t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00년 사이에 1200배 증가하는 수치다. 18억 t이면 사람 평균 몸무게를 60㎏이라고 가정했을 때 300억 명의 몸무게이다. 현재 세계 인구는 76억 명이다.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지구는 병들어가고 있다. 죽은 바닷새의 소화관을 가득 채운 플라스틱 조각 사진 한 장이 우리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바닷새는 바보처럼 왜 플라스틱을 먹을까?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은 강한 햇빛을 받아 분해되는데 이때 디메틸설파이드(DMS)라는 화학물질이 만들어진다. 이 냄새는 바닷새들이 좋아하는 먹이인 크릴이 미세조류를 먹을 때도 난다. 바닷새는 이런 이유로 플라스틱을 자신이 좋아하는 먹이라고 착각한다.
육상에서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는 결국 바다로 모인다. 북태평양 한가운데 하와이와 북미 대륙 사이에는 해류에 운반되어온 플라스틱 쓰레기가 모여 거대한 섬이 만들어졌다. 쓰레기 섬 면적은 70만~1500만 ㎢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국토 면적과 비교하면 7~150배나 넓다. 북태평양뿐만 아니라 대서양이나 인도양에도 마찬가지로 쓰레기 섬이 만들어졌다. 얼마 전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 마리아나 해구를 다녀온 탐험가는 그 깊은 곳에서도 플라스틱 쓰레기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햇빛이나 바닷물, 바람 등에 잘게 부서져 점점 작은 조각으로 변한다. 커다란 플라스틱 쓰레기는 그나마 우리 눈에 잘 보이니 치울 수야 있겠지만, 잘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은 정말 골칫거리다. 최근 국민이 미세플라스틱으로 환경 문제에 부쩍 관심을 많이 두게 되었다. 우리도 미세플라스틱에서 안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바다에서 다양한 수산물을 얻는다. 미세플라스틱은 바다 먹이사슬을 통해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의 몸으로 들어온다.
바다에는 우리 눈에 안 보이는 아주 작은 식물플랑크톤이 산다. 우리가 먹는 홍합은 이 식물플랑크톤을 걸러 먹고 사는데, 이때 미세플라스틱도 홍합 몸속으로 들어간다. 또 대부분 동물플랑크톤도 바닷물에 떠 있는 식물플랑크톤을 걸러 먹고 산다. 이때 미세플라스틱이 식물플랑크톤과 함께 동물플랑크톤 몸 안으로 들어간다. 이 동물플랑크톤을 물고기가 먹고, 우리가 물고기를 먹으면 미세플라스틱은 결국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몸에 들어온다고 당장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생물체에 미치는 이런저런 영향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루빨리 영향을 파악하여 미세플라스틱으로 일어나는 피해를 줄이는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우리가 편하게 쓰고 버린 플라스틱은 잘게 부서져 결국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다. 사람 손을 떠난 부메랑이 다시 돌아오는 것처럼 말이다. 플라스틱이 일으키는 환경 문제를 조금이라도 경감시키려면 지금부터라도 버리는 양을 줄여나가야 한다. 버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잘게 조각난 플라스틱을 드넓은 바다에서 일일이 찾아 없애는 일은 엎지른 물을 병에 다시 주워 담는 것보다 힘들다. 플라스틱을 줄이지 않으면 바다는 플라스틱 쓰레기장이 될 것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