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메디칼럼]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간장 질환의 징후

신우원 신우원내과의원 원장

  • 신우원 신우원내과의원 원장
  •  |   입력 : 2025-04-13 18:44:39
  •  |   본지 22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보기만 해도 어떤 병이 있는지 알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사람의 몸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한다. 머리카락이 희게 변하거나 얼굴에 주름살이 깊어지는 정상적인 노화에서부터 얼굴이 노랗게 변하거나 손가락 끝이 뭉툭해지는 등 병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본인이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에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간장 질환에 있어 중요한 신체 변화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황달은 담즙 색소인 빌리루빈이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정상인의 경우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과 함께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을 거쳐 대변으로 빠져나가지만, 간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빌리루빈의 배설이 원활하지 못해 체내에 쌓이게 된다. 피부가 노랗게 되는 것은 빌리루빈 색소가 노랗기 때문이며 주로 눈 흰자위에 먼저 나타나고 얼굴, 앞가슴, 온몸으로 퍼져 나가며 심하면 까맣게 변색이 되기도 한다(흑달).

거미상 혈관종은 우리 몸에 모세혈관이 거미가 다리를 쫙 펴고 누워 있는 모양처럼 확장되는 경우로 앞가슴, 목 부위, 얼굴, 손등 등에 주로 생긴다. 중심에 작은 적색의 동맥성 혈관이 있고 그 주위로 가느다란 모세혈관들이 마치 거미 다리처럼 방사상으로 펴진 형태의 혈관 확장 병변이다.

손톱이나 뭉툭한 볼펜 등으로 중심혈관을 누르면 그 부위가 창백해지고 압박을 풀면 다시 붉게 퍼진다. 거미상 혈관종이 우리 몸에 3개 이상 나타날 때는 간장 질환이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수장 홍반은 손바닥의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손바닥이 붉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가끔 정상인도 손바닥이 붉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손바닥 전체가 같이 붉어지는 경우가 많다. 간이 나빠 생기는 수장 홍반은 우리가 손바닥을 땅에 가볍게 대었을 때 흙이 묻는 부위, 도톰하게 튀어나온 부위가 주로 붉게 변하며 손바닥의 중심부는 상대적으로 하얗게 보인다. 수장 홍반이나 거미상 혈관종은 혈중 에스트로젠의 농도가 높은 경우 잘 생긴다. 정상적으로는 임신 중일 때, 병적으로는 간이 나빠 에스트로젠이 간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못할 때 나타날 수 있다.

오랜 기간 간 기능이 나빠지면 간에서 알부민 생성이 감소한다. 알부민은 우리 혈관 내에 수분을 보관하는 스펀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알부민이 감소하면 혈액 내 수분이 혈관에서 주변 혈관 외 조직으로 특히 복강으로 흘러 들어가 복수가 생긴다. 체중증가로 인한 복부비만과는 달리 배꼽이 들어가지 않고 평평해지거나 오히려 튀어나오기도 한다. 복부가 팽팽해지고 옆구리가 불룩해져 물이 가득 찬 주머니 같은 모양이 되기도 하며 발등이 붓고 부종이 동반하기도 한다.

여성형 유방 변화는 남성의 유방 조직이 여성처럼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양측 모두 같이 커지는 경우보다 한쪽이 더 커지는 경우가 많고 간경화증과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제거가 잘 안 되어 혈액 내에 에스트로젠이 상대적으로 많아 생긴다.

그 외에 철분이 비정상적으로 침착하는 혈색소 침착증때 검게 변하는 피부변색, 윌슨씨병에서는 각막과 공막(흰자위) 사이에 구리가 침착되어 생기는 황갈색 또는 녹색의 고리, 간경화증과 동반된 문맥압 항진으로 배꼽 주변의 혈관이 확장되거나, 혈소판 감소나 혈액응고인자 결핍으로 인한 멍, 자반 등도 간장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소견이다.

이상과 같은 몸의 변화가 생길 때 간장 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니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며 혈액 간기능 검사, 감염 바이러스 검사, 초음파와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겠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단독] 금양 수상한 돈흐름…세관 전격 압수수색
  2. 2부산도 신규지정 글로컬大 시너지
  3. 3건설업 위기 극복 팔걷은 부산시
  4. 4부산의 미청산 조합 46곳, 입주 후에도 유보금 ‘펑펑’… 조합원 몫 잠식
  5. 5신공항 조기개항 공약화로 ‘쐐기’
  6. 6친구에게 돌 던진 9세…법원 “2200만 원 배상하라”
  7. 7MLB 슈퍼스타 이정후 타율 0.355…NL 3위
  8. 8금값 더 오른다? 거래대금 작년보다 4.4배 급증
  9. 9“최다 방문객 대만인 더 모셔라” 부산관광公, 축제 앞세워 모객
  10. 10이강인 한 달만에 복귀…손흥민은 3경기 연속 결장
  1. 1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PK민심 공략 승부수(종합)
  2. 2중도층 잡아라…박형준과 스킨십 나선 국힘 주자들
  3. 3치열한 국힘 vs ‘어대명’ 민주…상반된 경선 분위기
  4. 4국힘 토론회 정책 실종…尹탄핵 설전만(종합)
  5. 5한덕수 출마 여부 “아직 결정 안내려”(종합)
  6. 6“독일처럼 과감한 감세, 기업 지방이전 이끌것”
  7. 7민주 영남 경선 李 90.8% 압승…충청권 이어 ‘어대명’ 재확인(종합)
  8. 8[속보] 이재명 50% 첫 돌파…김문수 12.2%, 한동훈 8.5% 등
  9. 9[속보] 권영세 "국민의힘, 당의 문 다시 활짝 열 것"… '반명(反明) 빅텐트' 시동
  10. 10국민의힘, 오늘부터 이틀간 대선후보 선출 1차 경선 돌입
  1. 1건설업 위기 극복 팔걷은 부산시
  2. 2부산의 미청산 조합 46곳, 입주 후에도 유보금 ‘펑펑’… 조합원 몫 잠식
  3. 3금값 더 오른다? 거래대금 작년보다 4.4배 급증
  4. 4“최다 방문객 대만인 더 모셔라” 부산관광公, 축제 앞세워 모객
  5. 5대형건물 ‘공개공지’ 사유화 많아…부산시, 정보제공 플랫폼 추진
  6. 6홈플사태 檢 맡는다…경영진 부정 정조준
  7. 7대기업 밸류업 역행에 잇단 제동
  8. 8주식시장 요동에…초단기채 펀드 40조 돌파
  9. 9이미지 보고 생각하는 AI 등장…美 개발 경쟁 격화
  10. 10KT 콘텐츠 사업, 전 과정 AI 적용…OTT서 동시 공개
  1. 1[단독] 금양 수상한 돈흐름…세관 전격 압수수색
  2. 2부산도 신규지정 글로컬大 시너지
  3. 3신공항 조기개항 공약화로 ‘쐐기’
  4. 4친구에게 돌 던진 9세…법원 “2200만 원 배상하라”
  5. 5‘디자인 도시 부산’ 만든다…2028 세계 디자인 수도 도전장
  6. 6이과 중위권 문과 전향…사탐 응시율 64% 넘어
  7. 7꼬마 아이언맨 재활원 밖으로 첫발…시민 뜨거운 응원
  8. 8오늘의 날씨- 2025년 4월 21일
  9. 9서울 봉천동 아파트에 화염방사 방화 추정…1명 사망·11명 부상(종합)
  10. 10도시 전체가 디자인 전시장으로…세상의 혁신이 모이다
  1. 1MLB 슈퍼스타 이정후 타율 0.355…NL 3위
  2. 2이강인 한 달만에 복귀…손흥민은 3경기 연속 결장
  3. 3해결사 나승엽…롯데 단독 4위 견인
  4. 4‘원정불패’ 아이파크…외국인 선수 트리오 골 폭죽
  5. 5佛 기대주 아트망, 부산오픈 단식 우승
  6. 610초 남기고…부산시설공단 역전쇼
  7. 7물오른 이정후, 또 2루타
  8. 8롯데 FA 트리오 170억 ‘헛돈’…유강남만 체면치레
  9. 9프로야구 주말 더블헤더 시행
  10. 10아스널-PSG, 인터 밀란-바르셀로나…챔스 4강 대진 확정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
“독일처럼 과감한 감세, 기업 지방이전 이끌것”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
“산은·수은 조속 부산행, 세계 금융물류수도로”
강동묵의 디톡스 [전체보기]
市 노동안전보건센터, 조속한 설립 필요하다
강동진의 도시이야기 [전체보기]
개발의 시대, 꼭 생각해 보아야 할 것들
우리에게 절실한 성장 마인드셋
과학에세이 [전체보기]
과학을 만나는 순간
불확실성 시대에 다시 생각하는 과학
국제칼럼 [전체보기]
‘콘트라베이스’가 말을 걸어왔다
미중 관세전쟁에 등 터질라
기고 [전체보기]
루마니아 원전 계속운전, K-원전도 함께 한다
부산에서 꿈을 이룬 대만 유학생, J양의 이야기
김석환의 이미 도착한 미래 [전체보기]
부산은 왜 망해가고 있을까
이형(고종), 이승만, 박정희, 윤석열 - 그들의 계엄
김지윤의 우리음악 이야기 [전체보기]
세계와 통하는 힙한 판소리
조선시대 조상들의 고독 대처법
김창욱의 스포츠 탐색 [전체보기]
골프룰 지키면 매너가 없다?
골프 vs 파크골프, 당신의 선택은?
뉴스와 현장 [전체보기]
공수표로 끝난 낙수효과, 책임은 누가 지나
‘좋은’ 일자리 지키기, 중요한 이유
데스크시각 [전체보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것
도청도설 [전체보기]
병역 개편 대선 공약
‘그랜드 링’과 한일 관계
메디칼럼 [전체보기]
메포츠로 약없는 세상, 건강백세 코리아 만들기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간장 질환의 징후
박상현의 끼니 [전체보기]
노키즈존과 키즈존
금정산성막걸리와 겨울 안주
박지욱의 뇌력이 매력 [전체보기]
뇌력 키우기 제5원칙, 사회적 소통
뇌력 키우기 4원칙 ‘잘먹기’
사설 [전체보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 반드시 성사시켜라
‘한미 2+2 통상협의’ 국익 우선 신중한 대처를
세상읽기 [전체보기]
함께 만드는 예술, 협력으로 함께 만드는 사회
프로파간다
엄길청의 문전성시 [전체보기]
전쟁과 장터
이상이 칼럼 [전체보기]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한 제언
양질의 지속 가능한 건강보장을 위한 개혁 방안
이제명의 오션 드림 [전체보기]
무주공해(無主空海)
트럼프 2.0 그리고 대한민국 해양정책
이홍의 세상현미경 [전체보기]
관세 혼란의 끝이 보인다
트럼프의 속마음 읽기
전호환의 두잉세상 [전체보기]
주민투표로 결정되는 부산·경남행정통합
수능 폐지를 위한 10년 교육 실험
주재민의 명당을 찾아서 [전체보기]
조선의 8대 명당, 김극뉴의 묘
퇴계 이황과 서애 류성룡의 생가
차재원의 정치평설 [전체보기]
트럼프의 ‘윤석열 구하기’ 망상
문민을 국방부 장관으로!
최태호의 와인 한 잔 [전체보기]
특권의식
유효기간
하순봉의 음악이야기 [전체보기]
모리스 라벨
겨울 나그네
황정수의 그림산책 [전체보기]
구본웅의 ‘빈대떡’
시인 권구현의 ‘금강산 풍경’
CEO 칼럼 [전체보기]
국민연금 개정, 어떻길래?
무신불립(無信不立), 신뢰 없으면 무엇도 이룰 수 없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