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근교산&그너머] <1327> 경남 창원 무학산

붉은 진달래 터널 지나니, 쪽빛 마산만 절경이 발아래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큰지도 다운로드   
- 서원곡주차장 원점회귀 코스
- 약 7㎞ 4시간30분 안팎 소요

- 초입에 수령 480년 은행나무
- 곳곳 전망대 시원한 바다 뷰
- 청량산 미륵산 등 파노라마
- ‘십자바위’ 최고의 힐링장소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은 진달래 산행으로, 창원의 진산인 무학산(舞鶴山·760m)을 소개한다.

지난해 찾았던 천주산(641m) 진달래 만개 시기에 맞추어 무학산 답사를 나섰다. 그런데 이상고온으로 올해는 한 주쯤 진달래 개화가 빨라졌다. 그래도 ‘세 마지기’를 뜻하는 ‘서마지기’ 북사면은 날씨만 받쳐준다면 아직 피지 않은 진달래가 남아 있고, 능선에는 꽃몽오리만 맺힌 철쭉이 많아 이번 주말에도 일부지만 꽃이 있을 것 같다.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 내서읍에 걸친 무학산은 빼어난 정상 조망으로 산림청 100대 명산에 이름을 올렸다. 천주산과 함께 창원의 진달래 산으로 널리 알려졌다. 근교산 취재팀이 ‘서마지기’에서 정상을 향해 진달래 꽃불이 난 ‘365 건강계단 ’을 오르고 있다.
■고운 최치원이 명명한 무학산

무학산 산행은 서원곡에서 서마지기로 올라 다시 서원곡으로 내려가거나, 학봉(鶴峰·392)을 거쳐 서원곡 입구로 대부분 하산한다. 장거리 산행은 만날고개·봉화산·내서읍으로 능선이 이어져 자기 체력에 맞게 타면 된다.

근교산 취재팀은 진달래 산행으로, 공영주차장에서 서원곡 오른쪽 관해정 능선을 타고 정상에 오른 뒤 학봉으로 하산했다. 전망대와 철쭉 진달래가 흐드러진 ‘만화방초(萬花芳草)’ 산길로 산행 만족도가 아주 높은 코스였다.

고운 최치원이 전국을 유람하다 골포(마산)에 머물렀는데, 학이 춤추는 듯 날개를 펼친 산세를 보고 무학산이라 했다 한다. 학봉이 머리이고, 정상에서 시루봉(636m)은 몸통이며, 대곡산(517m)과 봉화산(265m)은 활짝 펼친 양쪽 날개를 뜻한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 정지상 이황 정구 등이 그를 흠모해 찾아들었을 만큼 무학산은 최치원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고운대’로 불리는 학봉이 그러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월영대, 빛을 내며 광란을 일삼던 돼지를 화살을 쏴 물리쳤다는 ‘돝섬’ 설화 등이 있다.

무학산을 두척산 또는 풍장산이라 했다. 합포에 미곡을 보관하던 조창이 있었는데, 두척산(斗尺山)은 쌀을 재는 단위인 두(斗)와 쌓은 높이를 재는 척(尺)에서 유래했다. 고문헌인 ‘여지도서’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동지도’ 등에 두척산으로 나와 있어 조선 시대에는 두척산으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산행경로를 보면 창원 마산합포구 서원곡공영주차장~관해정(은행나무)~덱 길~원각사 옆 삼거리~무학산 정상·서학사 갈림길~서학사 입구~달맞이고개~705봉~서마지기~무학산 정상~안계 약수터·학봉 갈림길~‘Y자’ 갈림길(학봉 이정표)~학룡사 위 등산로 입구·대곡산 정상 갈림길~학봉·학룡사 위 등산로 입구 갈림길~선바위~배나무고개~십자바위~학봉~너른 마당(체육공원)~서원곡 도로~서원곡공영주차장에 되돌아오는 원점회귀다. 산행거리는 약 7㎞이며, 4시간 30분 안팎 걸린다.

서원곡공영주차장에서 출발한다. 안쪽 상단 주차장에서 오른쪽 교방천에 놓인 덱 다리를 건너면 조선 시대 이름 높은 선비이자 문신인 한강 정구 선생이 심었다는 수령 480년 된 은행나무와 정구 선생을 기리며 제자가 세웠다는 관해정이 나온다. 1634년(인조 12)에는 정구 선생을 배향하는 회원서원을 관해정 옆에 세우면서 ‘서원곡’의 유래가 됐다. 대원군 때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고 현재 관해정만 남았다.

무학산 정상은 개울을 끼고 덱 길을 오른다. 팝콘을 터트린 끝물 벚나무 뒤로 가야 할 무학산 정상부가 보인다. 10분이면 원각사 옆 덱 삼거리에 닿고, 오른쪽으로 덱 계단을 올라가면 콘크리트 갈림길에 닿는다. 오른쪽 서학사(350m)로 간다. 왼쪽은 무학산 정상 방향.

■진달래 철쭉 ‘만화방초’ 산길

산불초소를 지나 여러 기의 돌탑이 있는 석불암 갈림길에서 무학산 둘레길을 따라 석봉암으로 직진한다. 서학사 표석을 지나 된비알 길을 올라가면 서학사 입구에 도착한다. 무학산 둘레길은 오른쪽으로 간다. 왼쪽 달맞이 고개로 오르는 갈림길을 지나 다시 나오는 갈림길에서 왼쪽 마산여중 뒤 정자(3.2㎞) 방향으로 간다. 서학사 입구에서 3, 4분이면 ‘아까시나무’ 작은 이름표가 붙은 ‘Y자’ 갈림길에서 무학산은 왼쪽이다. 직진은 무학산 둘레길 방향. 산허리를 돌아 오르는 완만한 길이다. 8분쯤이면 사거리 안부인 달맞이 고개에 올라선다. 무학산 정상(2.2㎞)은 왼쪽으로 꺾어 능선을 탄다.

정자가 있는 705봉까지 가파르게 오르거나 완만한 길이 이어지는 외길 능선이다. 창원의 산과 마산항의 돝섬, 마창대교, 마산만 조망이 시원하게 열리는 잇단 전망대를 지나 꽃봉오리가 맺힌 철쭉 터널을 빠져나간다. 중간중간진달래가 분홍색 꽃을 폈다. 달맞이고개에서 1시간10분이면 705봉에 올라선다. 직진해 진달래 터널을 내려간다. 넓이가 600평이나 된다는 ‘서마지기’ 뒤로 진달래 꽃불이 무학산 정상으로 타올랐다. 무학산 정상(0.2㎞)은 직진해 진달래 군락 사이로 난 ‘365 건강 계단’을 오른다. 왼쪽은 서원곡(주차장)에서 올라오는 길,

계단이 365개이며 계단마다 날짜를 붙여 놓았다. 진달래 꽃구경을 하며 10분이면 왼쪽 만날고개(3.6㎞)로 헬기장을 지나 무학산 고샅에 선다. 오른쪽은 대서중리역과 마재고개 방향. 산림청 100대 명산에 오른 만큼 조망은 동서남북 막힘이 없다. 발아래 마산항에 매립 중인 마산해양신도시 터와 쪽빛 바다에 뜬 돝섬해상유원지 뒤로 보이는 마창대교에서 시계방향으로 청량산 거제도 미륵산 철마산 벽방산 거류산 광려산 여항산 방어산 월아산 자굴산 청룡산 천주산 구룡산 팔룡산 정병산 장유봉 불모산 장복산 시루봉 천자봉 등이 파노라마로 펼쳐진다. 하산은 남쪽 만날고개 방향이며, 안부에서 왼쪽 덱 길을 간다.

안계 약수터 갈림길을 지나 ‘Y자’ 갈림길에서 왼쪽 학봉(1.3㎞)으로 간다. 오른쪽은 만날고개 방향. 3분이면 능선 갈림길, 학룡사 위 등산로 입구(2.1㎞)로 직진한다. 오른쪽은 대곡산 정상 방향 낙남정맥 길. 628봉을 지나 오른쪽으로 능선을 내려간다. 학봉(1.0㎞) 이정표를 지나 삼각바위 전망대와 3m 높이 선바위를 지나 35분이면 오거리 안부 배나무고개에 닿는다. 학봉(0.3㎞)과 십자바위(0.19㎞)는 직진한다. 왼쪽은 서원곡(팔각정) 방향.

암봉에 십(十)자 모양으로 갈라진 납딱한 바위는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인 주기철 목사가 기도하던 바위로 주위 조망은 시원하다 못해 황홀했다. 살짝 내려선 뒤 나무 덱 길을 올라 건너편 학봉 정상에 선다. ‘고운대’로 불리며 최치원이 수양한 곳이란다. 능선을 따라 내려간다. 정자를 지나 오리나무 숲을 거쳐 체육공원인 ‘너른마당’에서. 왼쪽 ‘서원곡 입구(0.1㎞)’로 꺾는다. 학봉에서 25분이면 무학산 등산로인 서원곡 도로에 내려선다. 서원곡공영주차장은 오른쪽이며, 원각사 입구를 지나 10분이면 도착한다.


◆교통편

- 마산시외버스터미널서 707번 시내버스 탑승, 서원곡입구정류장 하차

거리가 가까워 대중교통과 승용차 이용 모두 괜찮다. 승용차 이용 때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232 서원곡공영주차장을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설정하고 주차장에 차를 둔다. 주차비 무료.

부산 사상구 서부터미널, 노포동 동부터미널, 동래시외버스정류소에서 직행버스를 타고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 내린다. 서부터미널에서 마산시외버스터미널행은 오전 6시부터 10분~25분 간격으로 다닌다. 약 50분소요. 노포동 동부터미널에서 마산시외버스터미널행은 오전 5시50분 6시30분 7시 7시30분 8시20분 등에 있다. 약 1시간20분소요. 동래시외버스정류소에서는 오전 6시10분 6시50분 7시20분 7시55분 8시45분 등에 출발한다. 약 1시간 소요. 터미널을 나와 마산시외버스터미널정류장에서 707번 버스를 탄 뒤 서원곡입구정류장에서 내린다. 주말은 24~31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산행 뒤 도로 건너 서원곡입구정류장에서 707번 버스를 타고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린다.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부산 서부터미널은 밤 10시30분까지 운행하며, 도시철도 동래역과 노포동 동부터미널행은 오후 4시 4시40분 5시20분 등 밤 10시까지 40분 간격으로 다닌다.

문의=문화라이프부 (051)500-5147 이창우 산행대장 010-3563-0254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산행출발일검색     검색

월별산행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3. 3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7. 7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8. 8‘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9. 9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10. 10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4. 4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5. 5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6. 6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7. 7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8. 8승복 없는 尹, 지지층 결집 메시지(종합)
  9. 9국민의힘, 주말 이후 대선 모드…김문수·홍준표 등 출마 선언 이어질 듯
  10. 10우의장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 시행 제안”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3. 3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7. 7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8. 8‘尹 파면’ 증시 단기 호재? 美 관세 리스크 대비해야
  9. 9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10. 10대화면에 가성비까지, 삼성·애플 또 붙었다…태블릿 PC 패권 다툼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4. 4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5. 5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6. 6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7. 7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8. 8의협, 尹 파면에 투쟁 본격화…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연다(종합)
  9. 9오늘의 날씨- 2025년 4월 7일
  10. 10대구 북구 산불 현장서 진화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5. 5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6. 6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7. 7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8. 8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9. 9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10. 10박정은 감독 “BNK, 부산의 자랑이 되길” MVP 안혜지 “우승 맛 보니 한 번 더 욕심”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