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통합이 속도를 내고 있다.
야권은 13일 오후 마포 한 호텔에서 민주진보통합정당 출범을 위한 연석회의 준비모임을 열기로 했다.
야권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한 이후 정식 기구를 출범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날 모임에는 야권 인사들이 총출동하기로 해 연내 통합정당 출범에 파란불이 켜졌다는 분석이다.
다만 통합 전당대회의 경선룰과 지도부 구성방식 등 난제가 산적해 있고, 민주당 내 당권주자들의 반발도 수그러들지 않아 통합까지 이르는 과정이 녹록지는 않을것으로 보인다.
◇준비모임 출범의 의미 = 이날 모임에는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당 지도부, 야권대통합 추진기구인 `혁신과 통합' 김두관 문재인 이해찬 상임대표 등의 대표단,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다.
다만 한국노총과 일부 시민단체가 내부 논의를 마치지 않아 일단은 준비모임을 출범시키고, 이들 단체가 동참하면 정식으로 연석회의를 구성하는 `개문발차(開門發車.차 문을 열고 출발)'식의 형태를 취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자리에는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은 참여하지 않는다.
이날 준비모임의 출범은 그동안 `각개격파'식으로 진행돼온 통합 논의가 `준비모임'이란 틀 안으로 들어오면서 본격적인 협상이 개시된 것이란 의미가 있다.
특히 야권통합 과정에서 협력 수준을 놓고 고심을 거듭해온 박원순 서울시장까지 참여하면서 통합정당의 외연 넓히기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게 됐다는 분석이다.
◇통합정당 창당 전망..난제 산적 = 준비모임은 먼저 통합추진기구(통추) 출범을 위한 실무적인 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통추가 구성되면 통합논의는 본격적으로 본궤도에 오르게 된다.
핵심 쟁점은 통합전대 시기와 지도부 구성 방식 등이다.
다음달 17일을 통합전대 날짜로 제시한 민주당은 전대 준비에 최소한 20일이 걸린다는 사실을 감안해 이달 27일을 통합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혁신과 통합'은 현재 통합시점을 11∼12월로 잡고 있다.
지도부 구성방식도 난제 중의 난제다.
통합 세력들은 한 목소리로 `지분 나눠먹기'식의 통합은 지양하겠다고 주장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에 있어서 손 대표는 `원샷 통합전대'를 통한 단일 대표체제 구축을, `혁신과 통합'은 `투샷 전대'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에는 특히 민주당 당권주자와 지역위원장의 이해관계와도 첨예하게 맞물려 있다.
민주당 전대와 통합전대를 병행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인 박지원 의원은 트위터에 "통합로드맵 첫 일정인 13일 통합연석회의가 열리지 못한 것에 국민과 당원은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의원들은 `민주당 중심의 통합'을 주장하며 `혁신과 통합'이나 한국노총, 시민사회 단체는 통합 대상이 아니라 영입 대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다음달 11일 전대 소집을 요구하기 위한 서명작업을 하고 있는 원외지역위원장들은 14일 모임을 갖고 최종적인 입장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