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유, 폐지 때 찬성표 던져"
- 유 "이의 제기하려 했다" 해명
- 이 "유, 친재벌·부자법 옹호"
- 유 "한미FTA 견해 밝혀라"
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30일 열린 부산 서구 방송토론회에서 새누리당 유기준 후보와 민주통합당 이재강 후보는 '서구 몰락'과 '해양수산부 폐지' 법안 찬성 책임을 놓고 불꽃 공방을 펼쳤다. 이 후보는 'MB 아바타'인 유 후보가 국회에서 부자들을 편들고 해양수산부 폐지에 찬성하는 등 지역을 돌보지 않아 서구가 쇠락했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3선에 도전하는 유 후보는 이를 방어하느라 진땀을 흘렸다.
이 후보는 이날 부산MBC에서 개최된 토론회에서 "부산과 서구는 수산물로 먹고 살았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은 해양수산부를 폐지했다. 부산의 신발사업 몰락 이후 두번째 타격이었다. 유 후보는 해수부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찬성했다. 유 후보는 주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후보는 또 "유 후보는 종합부동산세 축소 법안, 출자총액제한제도 등 각종 친재벌·친부자 법안에 모두 찬성했다. 서울에서는 재벌 편들고 부산에서는 서민을 위한다고 할 수 있나"면서 "재벌 세금 깎아주고 서민 위한다는 것은 위선이다. 이명박 정부의 부자 감세는 85조 원에 이른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유 후보는 "(해수부 폐지 법안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찬성한 것은 사실이고 사과한다. 하지만 새 정부 출범 직후에 무작정 반대할 수 없었다. 나중에 상황 봐가면서 이의를 제기하려고 했다"고 해명했다. 유 후보는 또 "노사모 출신인 이 후보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한 한미 FTA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면서 역공을 펼쳤다. 이 후보는 "저는 2008년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해외에서 처음으로 분향소를 만들었다. 서구 주민들 속지 마라. 한미 FTA는 이익의 균형을 되찾자는 것"이라고 맞받았다. 유 후보는 또 이 후보의 약력인 재영언론인 표기 등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다.
공약 이행 논란도 있었다. 이 후보는 "유 후보가 구의원, 구청장들이 한 공약을 자기가 했다고 주장한다. 서구민들은 20년 간 새누리당만 찍어 지역이 몰락했다. (방송을 보시는) 할아버지 할머니, 이번에는 2번 찍어 확 바꾸자"고 호소했다. 반면 유 후보는 "제가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일했던 사진과 자료들이 확보돼 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초청되지 않은 무소속 정오규 후보(기호 6번)는 별도로 연설회를 가졌다. 그는 "4전5기의 심정으로 서구를 지켰다. 태풍 매미가 송도 해변을 휩쓸었을 때 저는 한 달 간 송도 복구를 위해 땀흘렸고 당시 정부의 특별재난 지원비 430억 원을 확보했다. 개장 100년을 맞는 송도 해변을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해 육성·보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부산 KBS에서 열린 연제구 방송토론회에서는 김희정(새누리당) 김인회(민주통합당) 최제완(무소속) 세 후보가 서민경제 회생 방안 등을 놓고 각자의 공약과 비전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