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하갑이 지역구인 재선의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의 핵심 측근인 최 의원은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에서 이 전 대표를 후보로 만들기 위해 누구보다 열심히 뛰었습니다. 결과는 아시다시피 아쉽게 지면서 이재명 전 경기지사에 당의 대선 후보 자리를 넘겨줘야 했습니다. 자신이 모시던 이 전 대표가 패장이 되기는 했지만, 최 의원의 행보는 부산 정가에서 오히려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
지난주 부산에서 열린 ‘기본소득과 신복지의 만남-통합과 대전환의 미래를 위하여’란 제목의 토론회 모습. 강경태 신복지부산포럼 사무총장 제공 |
이유는 이렇습니다. 민주당은 경선 직후 노출된 지지자들의 분열과 혼란을 수습하고 이른바 원팀 체제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애초 당 중심이었던 선거대책위원회 조직도 이재명 후보의 색채로 완전히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이 상대인 국민의힘과의 초박빙 승부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지지층의 ‘누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경선 과정의 경쟁 후보를 포함한 상층부의 협력도 중요하지만, 지지자들의 화학적 결합도 말할 나위 없습니다. 부산은 지난 경선 과정에서 이 후보와 이 전 대표가 어느 지역보다 치열하게 경쟁했던 곳입니다. 또 이 전 대표가 가장 공을 들였던 지역이기도 합니다. 국무총리 재임 때 지역의 숙원인 가덕신공항 건설의 물꼬를 터줬고, 경선을 전후해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찾을 정도였습니다. 실제 경선에서 이 후보의 초반 대세론 속에서도 부산 민주당의 민심은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였습니다. 부산에서 이 전 대표 지지층 구심점 역할을 했던 ‘신복지부산포럼’의 결성은 최 의원이 주도했습니다. 지역의 학계 언론계 상공계 등 각계 전문가들이 고르게 참여하고 있는 신복지부산포럼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민주당의 색채가 엷다는 것입니다. 중도 성향 인사가 회원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선에서 진영의 울타리를 넘어가지는 않더라도 이 후보 지지에 소극적일 가능성은 다분합니다.
게다가 부산은 그 자체가 민주당의 전략적 요충지입니다. 민주당에 우호적인 부산시민을 하나로 엮는 것은 대선 승리와도 연결돼 있습니다. 지난주 부산에서 열린 ‘기본소득과 신복지의 만남-통합과 대전환의 미래를 위하여’란 제목의 토론회는 이런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날 행사는 이 후보 측의 싱크탱크인 ‘부산정책포럼 여명’ ‘포럼지식공감’과 ‘신복지부산포럼’ 등 3개 단체가 함께 마련한 콜라보였습니다. 최 의원과 이재강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를 비롯해 100명 가까운 각 포럼의 회원이 참석했다고 합니다. 물론 토론회 성사 뒤에는 최 의원의 적극적인 역할이 있었습니다. “이재명 후보의 본선 승리를 위해 뛰는 것은 당원의 한사람으로서 너무도 당연하다”는 최 의원. 그는 조만간 출범할 이 후보의 부산선대위 구성에 대한 의견도 내놨습니다. “민주당의 정체성과 다양성이 조화를 이루도록 (선대위가)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최정현 부국장 겸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