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 보수보다 정책역량 관심
- 적극 투표 의향층선 ‘정당’ 2위
부산 울산 경남 시도민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후보자의 정책 역량을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하겠다고 응답했다. 시·도지사 후보들의 공약에 대한 현미경 검증이 당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제신문 의뢰로 리서치뷰가 시도지사 선택 기준을 조사한 결과, 정책이 39.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도덕성 21.1%, 인물 17.2%, 소속 정당 16.6%, 학연·지연·혈연 등 연고 2.2% 순으로 나타났다. 모름·기타가 3.2%이다.
특히 전 연령대에서 정책에 중점을 두겠다는 응답이 높았지만, 연령대가 낮을 수록 이런 응답이 많았다. 만 18세 이상 20대가 49.7%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 48.5%, 40대 44.2%, 50대 36.2%, 60대 34.6%, 70대 이상 25.3%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부산 41.0%, 경남 39.5%, 울산37.3%가 정책을 선택 기준으로 꼽았다.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층이 보수층보다 정책역량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진보층의 43.6%가 시도지사 선택 기준으로 정책 역량을 선택했다. 하지만 보수층과 중도층에서는 각각 37.5%와 41.6%였다. 정당별 지지층에서도 정의당 지지층의 49.6%가 정책을 꼽았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각각 45.5%와 35.7%가 정책을 선택했다.
적극 투표 의향층에서도 정책을 꼽은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다. 특히 이 계층에서는 소속 정당(19.8%)과 인물(19.0%)을 시도지사 선택 기준으로 꼽은 비율도 만만치 않았다. 도덕성을 꼽은 비율도 18.1%였다. 연고성은 1.8%에 그쳤다. 조원호 기자
◇이번 여론조사는
- 만18세 이상 1000명 대상
- 신뢰수준 95%·±3.1%P
본 여론조사는 국제신문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뷰가 지난 23, 24일 부산 울산 경남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본 조사에 사용된 표본 추출 틀은 이동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 가상번호와 유선전화 RDD를 이용, 유·무선 병행 ARS로 시행했다. 유선 20.0%, 무선 80.0%로 응답률은 7.1%다. 2021년 6월 말 현재 국가주민등록인구비례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한 것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