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 “기억남을 통화 아니야
- 그저 좋게 이야기 한 것” 불끄기
- 공천 결정권 지목 이준석·윤상현
- 의혹 전면부인과 책임 떠넘기기
- 與 “당선인 신분때 일… 불법 아냐”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목소리가 담긴 녹음 파일이 31일 공개되면서 정치권에도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
창원지검 관계자들이 31일 창원시에 있는 명태균 씨 자택에서 압수수색을 마치고 복귀하고 있다. 김용구 기자 |
대통령실은 즉각 입장을 내고 명태균 씨와의 대화를 공천개입으로 연결하는데 선을 그었지만, “대선 경선 이후 명 씨와 연락하지 않았다”고 한 것이 앞선 해명과 배치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대통령실 해명의 신뢰도 떨어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통령실이 2022년 재·보궐 선거 공천결정권자로 지목한 당시 이준석 당대표(개혁신당 의원)와 윤상현 공천위원장도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의혹을 사고 있는 당사자 모두 핑퐁 게임 하듯 책임을 떠넘기는 모양새다.
대통령실은 이날 언론 공지에서 “당시 윤석열 당선인은 공관위로부터 공천 관련 보고를 받은 적도 없고, 또 공천을 지시한 적도 없다”며 “당시 윤 당선인과 명 씨가 통화한 내용은 특별히 기억에 남을 정도로 중요한 내용이 아니었고, 명 씨가 김영선 후보 공천을 계속 이야기하니까 그저 좋게 이야기한 것뿐”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취임 이후엔 명 씨와 연락을 한 적 없다는 취지로 해명한 바 있는데, 윤 대통령이 명 씨와 통화한 육성 파일이 공개되자 “기억에 남을 정도가 아니었다”고 평가절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개 정치 브로커가 대통령에게 국회의원 선거 공천을 부탁하고, 대통령이 이를 딱 잘라 거절하지 못하고 “(공천에 대해)그저 좋게 이야기한 것뿐”이라고 한 대통령실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공관위가 결정해야 하는 공천 문제가 애초에 윤 대통령과 정치 브로커 간의 대화에 올랐다는 사실부터 비판 받을 수 있는 대목이다.
대통령실은 이어 “당시 공천 결정권자는 이준석 당 대표, 윤상현 공천관리위원장이었다”고 책임을 떠넘기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이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저는 윤 대통령이 공관위에서 보고를 받는 줄도 알지 못했고, 또 후보측 관계자에게 이런 내용을 전달하는지도 몰랐다”며 이날 녹취록에서 공개된 상황에 대해 들은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이 자신을 책임자라 지목한 것에 대해 “저 시점(2022년 5월)으로부터 한달 뒤에 윤리위 걸어서 쫓아내려고 기획했던 자들이 어디서 이준석 팔아서 변명하려고 하나. 양두구육을 넘어서 이제 인면수심을 하려고 하는가”라고 반박했다. 윤상현 의원도 의혹을 부인하며 윤 대통령과도 공천에 대해 상의한 적 없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대통령실 반박에 보조를 맞추며 야당의 공세를 차단하는 분위기다. 특히 윤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하기 전의 통화라는 점에 주목한다. 당 소속 법제사법위원들은 통화 내용에 대한 법률검토 결과 “당선인이었던 윤 대통령이 ‘공무원의 당내경선 운동 금지’를 규정하는 공직선거법 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공천 관련 의견을 당에 개진했더라도 선거법 위반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친윤(친윤석열)계 권성동 의원은 기자들에게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공천 개입과는 전혀 내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다만,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는 이번 사안에 대해 말을 아꼈다.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국민 정서에 반한다는 점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친한(친한동훈)계 조경태(부산 사하을) 의원은 “대통령이 되기 전에 있었던 일이니까 법적인 부분은 피해 나갈 수 있다고 보지만 좋은 뉴스는 아닌 것 같다”며 “당무 감사를 해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