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수재건 리더십 적합 평가 속
- 정치 질서·개헌 방향 제시 관측
- “내년 지방선거 때 개헌투표하자”
장미 대선 정국이 열리면서 대선 주자들이 속속 출사표를 던지는 가운데 국민의힘 소속 박형준 부산시장의 역할론에 관심이 쏠린다.
박 시장은 최근 탄핵과 조기 대선 국면에서 자신의 국가 리더십 구상을 담은 저서 ‘대한민국 재건을 위한 명령’을 출간해 정치권의 주목을 받았다. 사회학 교수 출신으로 탄탄한 이론적 소양을 갖춘 데다 국회 청와대 지자체에서 정치·행정 경험을 두루 갖췄고, 이념 색이 옅은 합리적인 인물이란 점에서 탄핵 이후 보수 재건의 리더십으로 적합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시장은 8일 국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대선에서의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후보로) 나간다면 의미 있는 기여를 하거나 영향력을 갖는 기회가 주어져야 하는데 제 단독의 힘으로 돌파하기엔 현재 여건 자체가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그는 “판 자체가 뛰고 도약할 수 있게 만들어지지 않고 주어진 질서대로 주마간산식으로 후보 경선을 하게 되면 출마하는 자체가 자칫 부산 시민께 누를 끼칠 수 있어서 신중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탄핵 이후 보수에 불리한 여론 지형,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독주 구도, 60일간의 촉박한 대선 일정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부산 시정을 뒤로 하고 대권에 도전하기가 만만치 않다는 속내를 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때문에 박 시장이 대선 선수로 직접 뛰기보다는 탄핵 이후 정치 질서 재확립, 개헌 국면에서 대한민국의 방향을 제시하는 큰 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박 시장은 “책을 낸 것도 그런 취지”라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최근 제기된 대선·개헌 동시투표론과 관련, “(유력주자인) 이재명 대표 결단의 문제”라면서 “안 되면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안을 통과시키고 실행 시기를 2028년 국회의원 선거부터 하든지 다음 대통령 임기부터인 2030년부터 하든지 하면 좀 더 안정적으로 개헌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자신의 저서에서 “개헌의 핵심은 대통령 5년 단임제와 선거 주기의 비정합성을 고치고, 과도한 중앙집권형 수직적 질서를 지방분권형 수평적 질서로 바꾸는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