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로웹 대표 “주문처리 지원 필요”
- 한은 부산본부·명진금속 직원
- “소상공인 기존시설 적극 활용”
- 공공부문서 홍보·콘텐츠 도와야
- 소매업도 차별화된 전략 급선무
10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오픈마켓을 활용한 지역기업 지원방안 전문가회의’에서는 부산형 인터넷 쇼핑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쏟아졌다.
 |
10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오픈마켓을 활용한 지역기업 지원방안 전문가 회의’ 참석자들이 지역기업 지원 등 부산시의 온라인쇼핑 정책 설정에 대해 토론을 하고 있다. 김종진 기자 |
이날 회의에서는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선결 과제로 물류 문제를 거론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삼진어묵 정성우 이사는 “어묵은 장기보관이 어려워 빨리 배송해야 한다. 온라인쇼핑몰 입점 못지않게 배송, 물류와 관련된 하드웨어 지원이 절실하다”면서 “온라인은 고객의 니즈(needs)만 있으면 중소기업도 확장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많은데 자체적으로 시설을 구축하려면 비용이 많이 든다. 물류, 배송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로웹 이재현 대표도 “중소상공인이 직접 하기 어려운 사진 촬영 등 홍보, 주문 외 포장·배송 등 물류와 관련된 풀필먼트 서비스를 지원해준다면 오픈마켓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미디어와 IT가 결합된 페이스북, 교통과 IT가 결합된 우버처럼 전통시장도 IT와 융합돼야 한다”며 “전통시장의 상품을 모아 배송과 연결시킨다면 전통시장도 온라인에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부산은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부전시장 등 좋은 콘텐츠가 많이 있는 데도 장점을 살리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정민수 과장은 “오픈마켓 입점 자체가 최종 목적이 되는 것은 맞지 않다. 극단적으로 오픈마켓 입점 비용을 지원한다면 시민의 세금이 서울업체에 들어간다고 볼 수도 있다. 위메프 같은 업체가 부산에 생기는 게 이상적이지만 당장 현실적으로는 기존에 가진 물류 인프라를 활용해 물류센터를 유치하고 기업의 물류 인프라를 잘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 제조 회사로 오픈마켓에 입점한 명진금속의 정윤모 부사장도 “물류단지를 만들어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맞는 것 같다”고 제안했다.
부산지역 기업이 만든 상품의 콘텐츠 경쟁력이나 홍보를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오픈마켓 위메프 상생협력팀 신희문 팀장은 “가장 선행돼야 하는 것은 상품력이다. 위메프에는 수십만 개 업체가 입점해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내 기업을 돋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상공인이 판매 스킬을 익히는 게 필요하다”면서 “위메프도 소상공인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인큐베이팅하는 ‘MD메칭데이’ 등을 정기적으로 운영한다. 소상공인에게 판매 교육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할 것 같다”고 조언했다.
부산우수제품 E-플랫폼을 만드는 데 참여한 우원소프트 문영기 대표는 “지역 중소기업 60% 정도는 제대로 된 홈페이지조차 구축이 안 돼 있었다. 오픈마켓 플랫폼을 만든다면 기업과 제품의 스토리가 가미된 콘텐츠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자갈치시장에서 건어물 중개상을 운영하는 자갈치맘 차성래 대표는 “쿠팡, 11번가, 위메프 등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서 물건을 판매했지만 결국 그 플랫폼 내에서 노출이 잘 되려면 광고비가 드는 등 새로운 경쟁을 해야 한다. 오프라인만 운영하는 업체는 SNS 홍보 등 온라인 유행 트렌드를 잘 알지 못해 온라인 수익 창출까지 갭이 존재한다. 마케팅 비용 지원 등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한국은행 정 과장은 “온라인쇼핑이 중요하지만 근본은 소매업 자체의 경쟁력이다. 온라인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면서 “소매업체가 자기만의 차별화된 전략, 상품을 가질 수 있다면 온라인과 별개로 충분히 성공하고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업체의 자체 경쟁력 강화에도 공공 부문에서 도와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화영 박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