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상징하는 고리원전 1호기 해체가 오는 20일 부산에서 열리는 주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본궤도에 오른다. 울산을 포함해 이달 말까지 총 네 차례 진행되는 공청회에서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 등 주민 안전과 밀접한 사안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부산 울산 경남지역 9개 지자체 주민을 대상으로 오는 30일까지 ‘고리 1호기 최종 해체계획서’ 초안에 대한 공청회를 연다고 1일 밝혔다. 9개 지자체는 부산 기장군·해운대구·금정구, 울산 울주군·남구·중구·북구·동구, 경남 양산시다. 공청회는 ▷해운대 벡스코(20일) ▷울산 종하체육관(23일) ▷울산 울주군 서생면 행정복지센터(25일) ▷기장군 차성아트홀(30일)에서 순차적으로 개최된다.
앞서 한수원은 지난 7월 1일부터 8월 29일까지 9개 지자체 주민을 대상으로 최종 해체계획서 초안에 대한 공람 절차를 가졌다. 당시 절차가 각 지자체 등에 비치된 초안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에 그쳤다면, 이번에는 현장에서 주민의 우려와 정책 제안이 직접 제기될 전망이다. 60일간의 공람 과정에서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 마련 후 해체 돌입’ 의견이 주로 제시된 만큼 공청회에서도 이 문제가 주요 안건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한수원은 공청회 결과를 반영해 해체계획서 최종안을 마련한 뒤 원자력안전위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석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