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리원전본부 내 사용후핵연료 포화 시기를 늦추기 위해 고리 2호기에 ‘조밀저장대’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조밀저장대는 사용후핵연료를 촘촘히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이다.
 |
고리원전 전경. 국제신문 DB |
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수명 연장(오는 4월)이 결정된 부산 기장군 고리2호기 습식저장시설 내에 조밀저장대(사용후핵연료 간격을 줄여 저장 용량을 늘리는 장치) 설치를 검토 중이다. 고리원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는 현재 습식저장시설(물속에 저장하는 방식)에 보관되는데, 건식저장시설(국제신문 지난 8일 자 1면 보도) 설치 전까지 조밀저장대를 구축해 지금보다 더 많이 저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이런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고리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포화 시기가 당초 문재인 정부 때 추산한 2031년보다 3년 정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산업부가 지난 10일 공개한 ‘국내 원전별 사용후핵연료 포화 시점 재산정 결과’를 보면, 고리원전은 조밀저장대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2028년 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폐기’ 방침에 따라 오는 4월 고리 2호기를 시작으로 수명 연장이 본격화하는 까닭이다.
반면 조밀저장대를 설치하면 고리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포화 시기는 2032년으로 오히려 1년 늦춰지는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부는 “원전 저장시설 포화를 방지하거나 늦추기 위해서는 조밀저장대 설치가 필요하다”며 “국내 다른 원전 일부에도 (조밀저장대가) 설치돼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조밀저장대를 만들면 사용후핵연료가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원전 소재 지역의 위험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번 재산정 결과에서는 국내 모든 원전의 포화 시기가 1, 2년 단축될 것으로 추계됐다. 고리원전을 제외하고 가장 먼저 포화 상태에 이르는 원전은 전남 영광 한빛원전(2030년)이다. 7년 뒤부터는 국내 원전이 순차적으로 멈추게 된다는 의미다. 정부가 건식저장시설 설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