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벡스코시설관리 대표 연임 놓고 ‘모자회사’ 갈등

시설관리 노조 “처우 개선 필요, 직원 대변한 現대표 연임해야”

  • 이유진 기자 eeuu@kookje.co.kr
  •  |   입력 : 2023-02-13 19:53:07
  •  |   본지 12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벡스코는 “요구 과도” 교체 무게

벡스코가 자회사인 벡스코시설관리의 대표이사 선임을 놓고 시설관리 측과 갈등을 벌이고 있다. 벡스코는 겉으로는 시설관리 대표이사의 임기 만료가 다가와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시설관리 직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사사건건 맞부딪히는 것에 불편함을 느껴 교체 쪽으로 무게가 기울었다는 말이 나온다.
벡스코 전경. 벡스코 제공
13일 국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벡스코시설관리는 벡스코 제1·2전시장 오디토리움 컨벤션홀 누리마루APEC하우스 등의 시설관리 주차경비 환경미화 부대사업을 담당한다. 직원은 167명으로 벡스코(80여 명)의 2배에 달한다. 벡스코시설관리 김도강 대표는 용역사 대표로 있다가 2019년 5월 2일 자회사인 벡스코시설관리로 법인이 설립되면서 대표로 선임됐다. 임기는 2년으로 1년씩 2번 연임해 올해 취임 4년째다.

벡스코가 김 대표의 교체에 무게를 실은 것은 용역사에서 자회사로 승격된 이후 직원의 임금과 성과급뿐만 아니라 사내 복지에서도 벡스코와 비교하며 끊임없이 개선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벡스코 관계자는 “두 회사는 엄연히 독립된 법인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등 수입원을 모두 모회사에 의지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등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벡스코시설관리 측은 그동안 직원의 처우 향상 등을 대변해 온 김 대표가 연임해 조직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벡스코에 비해 열악한 임금이나 복리후생의 개선을 위해 김 대표가 그동안 나서줬는데 벡스코가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대표로 교체하면 그동안 개선된 조건들조차 후퇴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벡스코시설관리 배학돈 노조위원장은 “신임 대표를 공모하는 쪽으로 결정나면 출근 저지 등 단체행동에 나설 계획”이라며 “결격사유가 없는 대표이사를 교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벡스코시설관리 노조는 부산시에도 김 대표의 연임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보냈다.

두 회사 간 갈등은 표면적으로는 독립된 법인이지만 사실상 예산과 권한 등이 벡스코에 집중돼 있는 구조에서 비롯됐다. 벡스코시설관리의 한 해 예산은 약 70억 원으로 벡스코가 집행한다. 벡스코 관계자는 “예산을 고려할 때 받아들이기 힘든 요구사항이 있어 조율 중”이라며 “각 회사의 경영 상황에 맞게 임금과 복리후생이 결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배 위원장은 “벡스코시설관리 업무상 수익을 내기 어렵고 예산이 벡스코에서 내려오는 상황에서 임금협상 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7. 7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8. 8[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9. 9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10. 10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7. 7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8. 8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9. 9윤상현 “尹, 신당 창당 제안 많지만 배격…파면은 의연하게 받아들여”
  10. 10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필터 원단 듀라필텍스, 3M보다 고성능…TSMC 납품 목표”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4. 4[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5. 5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6. 6부산 동구, 부산 자치구 최초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수립
  7. 7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8. 8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9. 9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10. 10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존재감 없는 롯데 캡틴…"준우형 도대체 왜 그래?"
  5. 5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6. 6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7. 7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8. 8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9. 9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10. 10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2025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하역장비 자동화 위주 진행…데이터 종합 플랫폼 시급
불황을 모르는 기업
‘턱관절 치료 가전’ 정식 출시도 전에 美서 주목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