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한전 "K-에너지효율 사업화로 국내 기업과 해외 진출" 선포

전문가 200여명과 'e신사업 동반진출 컨퍼런스'

글로벌 에너지 신시장 개척 위해 해외도약 필요

"에너지 효율 향상 등 위한 기술 사업화 추진"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연합뉴스
한국전력(한전)이 K-에너지효율 및 그리드 운영 기술 사업화로 국내 기업과 ‘해외시장 동반 진출’을 선포했다.

한전은 이달 초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린 ‘K-그리드 수출 현장방문 행사’의 후속 조처로 17일 한전아트센터에서 ‘e신사업 동반진출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국가 에너지 산업의 혁신성장과 수출 동력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컨퍼런스에는 정부, 산업계, 학계 등 각계 전력산업 전문가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문승일 교수는 글로벌 에너지 신사업 트렌드에 대해 발표했다. 타이드 조경종 대표는 인도네시아에서의

지능형 전력망 서비스 사업을 팀코리아(Team Korea)의 성공사례로 소개했다.

한전은 에너지 신사업 아이템 및 전력산업 유관 기업들의 해외 진출 지원방안 등 ‘해외 에너지 신사업 동반진출 전략’을 설명했다.

효성중공업의 최대희 본부장은 ‘전력 신기술 소개 및 Team Korea 동반진출 사례’라는 주제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글로벌 에너지 신시장 개척을 위한 범국가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고, 참석자들은 국내에서의 성과를 토대로 해외로의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한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공감하고 협력을 이어 나가기로 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 인공지능(AI) 확산에 대응한 데이터센터 투자 등으로 전력인프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한전은 그간의 전력망 운영을 통해 축적한 경험과 연구개발(R&D) 역량을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을 위한 기술 사업화를 활발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반도체 등 다른 산업들의 수출을 지원하며 국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는데 기여해 온 전력산업이 이제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 신시장에 진출하는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성장하고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한전이 그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7. 7[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8. 8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9. 9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10. 10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7. 7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8. 8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9. 9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10. 10윤상현 “尹, 신당 창당 제안 많지만 배격…파면은 의연하게 받아들여”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필터 원단 듀라필텍스, 3M보다 고성능…TSMC 납품 목표”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4. 4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5. 5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6. 6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7. 7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8. 8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9. 9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10. 10하동 옥종 산불 2단계로 격상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5. 5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6. 6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7. 7존재감 없는 롯데 캡틴…"준우형 도대체 왜 그래?"
  8. 8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9. 9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10. 10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2025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하역장비 자동화 위주 진행…데이터 종합 플랫폼 시급
불황을 모르는 기업
‘턱관절 치료 가전’ 정식 출시도 전에 美서 주목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