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다음 주 한국에서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와 면담을 갖고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공유한다.
이 사업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미국으로부터 ‘관세 위협’을 받는 우리 정부가 이 사업을 통상압력 완화의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산업부 제공
|
18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던리비 주지사는 오는 24일 이틀간 일정으로 방한해 안 장관 등과 면담을 진행한다. 이번 방한을 통해 던리비 주지사는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에 대한 한국 측 투자를 요청하고 관련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프로젝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일(현지시간)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한국과 일본의 투자 참여를 직접 언급하면서 한미 통상·에너지 협력의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알래스카 북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남부 해안으로 운송해 액화(기체를 냉각·압축해 액체로 바꾸는 공정)한 뒤 수출하기 위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다. 1300㎞ 길이의 가스관과 액화 터미널 등이 건설된다. 총투자비는 440억 달러(약 64조 원)로 추산된다.
알래스카 LNG 개발이 성공하면 미국은 에너지 수출을 확대해 무역수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 역시 천연가스 수입선을 다변화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 국내 철강·조선·건설 기업이 LNG 플랜트 건설과 관련해 기자재 공급에 참여하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방위 관세 압박에 나선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동맹국 지위를 공고히 하며 지정학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리스크도 적지 않다. 총투자비가 우리 정부 연간 예산의 10%에 육박할 만큼 부담이 상당한 데다, 알래스카의 혹독한 기후 환경을 고려하면 향후 건설·운영 비용이 예상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 사업의 기회와 리스크를 면밀히 분석한 후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석주 기자serenom@kookje.co.kr·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