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진과 상호 협력 방안 논의
- HJ重, MSRA 체결 준비 나서
주한미해군사령관이 HJ중공업 부산 영도조선소를 방문해 현장을 둘러본 후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사업을 수행하기에 충분하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
지난 10일 HJ중공업 영도조선소에서 닐 코프로스키(왼쪽에서 네 번째) 주한미해군사령관이 유상철(왼쪽에서 다섯 번째) 대표이사 등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HJ중공업 제공 |
HJ중공업은 지난 10일 영도조선소를 방문한 닐 코프로스키 주한미해군사령관이 자사 경영진과 함정 MRO사업 등 관련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4일 밝혔다.
코프로스키 사령관은 참모진과 함께 HJ중공업이 보유한 함정 건조 시설과 보안 설비, 고속상륙정(LSF), 최신예 경비함 등을 살펴본 후 “부산 도심에 위치한 HJ중공업은 대규모 정비와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작전 지역 내 정비는 정비기간과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작전 준비 태세를 크게 향상시킨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세계적인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은 한미 동맹의 굳건한 약속과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례”라고 덧붙였다고 전했다.
미 해군 함정 MRO 사업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주요 우방국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 분야다. 이 분야 경쟁력을 갖춘 국내 조선업계의 MRO 사업 참여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HJ중공업 역시 미 해군 보급체계사령부와 사전 협약이자 자격요건인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고자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특히 최근에는 한미연합군사령부와 유엔군사령부에서 활동하며 한미 가교역할을 담당한 전인범 전 특수전사령관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이날 코프로스키 사령관이 탑승한 고속상륙정(LSF·Landing Ship Fast)은 공기를 부력으로 이용하는 항공기 기술을 응용한 함정으로 설계에서 건조까지 최첨단 기술이 요구된다. HJ중공업은 대한민국 해군이 발주한 8척 전량을 건조했다. 유상철 HJ중공업 대표이사는 “조선 분야에서 한미 간 협력과 동맹 강화는 언제든 환영할 일”이라며 “함정의 설계, 건조, 성능개량과 MRO 사업에 이르기까지 전문 인력과 최신시설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미 해군이 필요로 하는 MRO 사업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