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셰어 하우스 130호, 청년 창업가에 공급…사회적거래소와 사회투자기금 추진

  • 김화영 기자 hongdam@kookje.co.kr
  •  |   입력 : 2015-02-09 22:44:07
  •  |   본지 2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부산에서는 처음으로 청년 창업가들에게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된다. 사회적거래소 설립과 사회투자기금 운영도 의제화된다.

■청년 창업가에 공공임대주택 제공

부산시는 2018년까지 한 집을 나눠 쓰는 '셰어 하우스' 130호를 확보해 청년 창업가에게 우선 제공하겠다고 9일 밝혔다. 10호는 신축하고 120호는 기존 주택을 리모델링한다. 예산은 35억3000만 원이다.

김형찬 부산시 건축주택과장은 "부산의 공공임대주택 비중이 전국 7대 시·도 중 6위인 데서 알 수 있듯 청년층을 위한 임대주택이 부족하다"면서 "2020년까지 내다보는 공공임대주택 청사진을 만들어 곧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또 신혼부부용 '행복주택' 3곳(동래역사·아미동·지사과학단지)은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착공한다. 도심지 내 빈집을 수리해 주변 시세의 반값에 임대하는 '햇살둥지'도 매년 60호 이상 공급할 계획이다. 올해 매입임대(700호)와 전세임대(1450호)는 2150호 규모이다. 김 과장은 "338개 고시원에 사는 1만 여명 저소득층의 주거안정도 중요하다. 최저 주거 안전성 보장을 위해 소방시설 설치를 지원하는 대신 임대료를 일정기간 동결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사회적 자본 활성화 검토

사회적거래소 설립과 사회투자기금 운영도 속도를 낸다. 사회적 경제 기업의 가치에 대한 투자와 기부를 중개하는 사회적거래소는 한국거래소(KRX) 국민행복재단이 운영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현재 KRX가 금융위원회와 설립 조건이나 시기에 대해 논의 중이다. 앞서 KRX는 2012년 자본시장연구원에 사회적거래소 설립 용역을 발주하고 검토에 나섰다가 이듬해 '아직 여건이 안 됐다'며 흐지부지한 적이 있다.

부산시는 이와는 별도로 사회적 경제의 '마중물'인 사회투자기금 운영도 검토에 나섰다. 서병수 시장은 "지난해 부산시 주최로 '사회적 경제 포럼'을 개최해 사회적거래소 설립과 사회투자기금 운영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면서 "이스라엘의 창업·벤처 활성화를 이끈 요즈마 펀드를 공부하고 있다. 부산시와 민간이 재원을 공동 출연할 수 있는 근거(조례)부터 마련해야 한다. 지난해 여야가 발의한 '사회적경제 기본법'의 추이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부산에는 사회적(벤처)기업·마을기업·협동조합·공유경제기업이 1000개에 달한다. 이 중 상당수는 재정난에 시달린다. 임경수 부산사회적기업센터장은 "우리나라 사회적 경제 기업 대부분이 국가 예산에 의존한 공적 지원을 받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은 불가능하다. 사회적거래소를 설립해 다양한 재원의 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7. 7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8. 8[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9. 9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10. 10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7. 7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8. 8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9. 9윤상현 “尹, 신당 창당 제안 많지만 배격…파면은 의연하게 받아들여”
  10. 10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부산롯데호텔 블루헤이븐, 지역 호텔 최초 ‘2025 부산의 맛’ 선정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4. 4[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5. 5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6. 6부산 동구, 부산 자치구 최초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수립
  7. 7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8. 8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9. 9부산 남구, 경성대·부경대 상권활성화 구역 내 공중케이블 정비사업 확정
  10. 10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존재감 없는 롯데 캡틴…"준우형 도대체 왜 그래?"
  4. 4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5. 5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6. 6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7. 7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8. 8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9. 9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10. 10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난치병 환우에 새 생명을
간낭종·대장암 의심 수술비 지원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