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기장 해수담수화 돌고돌아 원점

활용방안 찾던 상수도본부, 3년만에 “식수만이 답” 결론…주민 반발 설득할 방안 없어

2000억 들인 시설 폐기 우려, ‘가덕 담수화’ 사실상 불가능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기장 해수담수화 수돗물에 대해 ‘식수(생활용수) 외 다른 대안이 없다’고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국제신문 취재 결과 확인됐다. 해수담수화 수돗물의 식수 사용을 놓고 지금까지 시와 주민들이 3년 넘게 갈등을 빚어왔던 것을 감안하면 결국 ‘다시 제자리’라는 비판이 인다.

특히 시는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문제를 풀지 못하면 미래 산업의 일환으로 서부산권에 조성할 계획이었던 제2 해수담수화 시설 역시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관련 사업이 줄줄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의 설명을 종합하면 본부는 오거돈 부산시장의 지시로 지난 3개월 동안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왔다. 전체 하루 생산량은 4만5000t인데, 현재는 원전 냉각용수 활용 1만t 외에는 별다른 사용처를 찾지 못한 상태다. 본부는 우선 정수를 거쳐 만들어진 수돗물을 활용해 친환경 수소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투자비만 18조9000억 원이 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공업용수로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됐지만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 단가가 비싸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별도로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담수 추출 후 남는 고농도 염분수(하루 5만5000t)를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됐으나 이 역시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염분차 발전의 경우 지난 1월 GS건설에서 실험한 결과 1t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기가 1㎾에 불과했다. 또 소금 생산도 가능하지만, 단가가 중국산에 비해 1.5배 이상 비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시가 별다른 대안 없이 ‘해수담수 수돗물의 식수 공급’을 놓고 공론화에 나설 경우 다시 한번 사회적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식수 공급 쪽으로 결론이 나면 기장군 주민들의 반발이 더욱 커질 것이 뻔하고, ‘공급 불가’ 결론이 나면 1954억 원(국비 823억 원, 시비 425억 원, 민자 706억 원)이 투입된 시설에 대한 ‘혈세 낭비’ 논란이 거셀 수밖에 없다.

이처럼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문제를 풀지 못할 경우 1조3000억 원이 투입되는 서부산권 담수화 글로벌 허브도시 육성 사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는 지난해 5억 원이나 들여 용역을 실시하고 가덕도 해수담수화 시설 추가 설치 등 글로벌 허브도시 육성 사업을 추진할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해수담수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걷히지 않는 상황에선 추가 시설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시는 보고 있다. 부산시 기후환경국 관계자는 “이미 수천억 원을 투입한 시설의 물도 처리를 못 하는 상황에서 또 엄청난 예산을 들여 제2의 해수담수화 시설을 짓는 것은 부담스럽다. 해수담수에 대한 인식을 바꾸지 않으면 이 사업 역시 첫 삽도 뜨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송이 박호걸 기자 rafael@kookje.co.kr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피란수도 부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제동
  2. 2“인생 2막 성공하려면…독서하라, 멘토 정하라, 명상하라”
  3. 3[시인 최원준의 음식문화 잡학사전] <54> 충청도 새뱅이
  4. 4마린시티 ‘영화의 거리’ 노후…12년 만에 손 보기로
  5. 5첫날부터 北 핵보유국 인정…‘한반도 비핵화’ 접나
  6. 6김도영 연봉 5억…역대 4년 차 최고
  7. 7"선관위 강제수사, 5년간 181회…91%는 尹 재임 기간"
  8. 8교통비 환급되니 버스·도시철 더 탄다…동백패스 선순환
  9. 9형제복지원 해외입양 진짜였다…진실화해위, 최소 31명 확인
  10. 10부산남구문화재단 9월 문 연다…정관 제정 등 설립작업 본격화
  1. 1"선관위 강제수사, 5년간 181회…91%는 尹 재임 기간"
  2. 2탄핵심판대 직접 선 尹 “부정선거 밝히려 계엄”
  3. 3국회 계엄군 영상에…尹 “해제의결 딴 곳서 하면 돼” 황당주장
  4. 4野 “檢이 경호처 수사 제동…내란특검 필요” 압박
  5. 5김미애 의원, 중국인 건보 무임승차 방지 법 개정안 발의
  6. 6崔대행, 방송법 등 3건 거부권…“대안 재논의 취지”
  7. 7"김해시민 빨갱이" 이미애 김해시의원, 시민에게 ‘사과’
  8. 8“사하구민 생활개선 공약이행, 앞으로도 노력할 것”
  9. 9공수처장 “尹측 숨박꼭질 유감…오늘도 강제구인 시도”
  10. 10김성훈, 野 관저 압수수색 승인 요구에 “법률에 따라 판단할 것”
  1. 1미세먼지 극성인데…"공기청정기 호환필터 8종서 '살생물질'"(종합)
  2. 2기능 중복·조직 비대화 지적에 부산테크노파크 ‘7단 3실’로 조직개편
  3. 3올해 설 연휴에 김해공항에서 15만8000명 해외로 나갈 듯
  4. 428일 서울→부산 귀성길 최대 7시간 40분(종합)
  5. 5트럼프發 '관세 리스크'에 국제유가 3일째 하락…WTI 2.6%↓
  6. 6부산 14개 전통시장에서 수산물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 열려
  7. 7부산 인구 2.1명당 자동차 한 대 보유
  8. 8그린벨트 내 골프장 설치 허용…반려동물 진료기록 의무 공개
  9. 9지난해 부산 연간 출생아 수 '9년 만에 증가 전환' 유력
  10. 10공모주 장기보유 배정물량 확대…기관투자 ‘단타’ 막는다
  1. 1‘피란수도 부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제동
  2. 2“인생 2막 성공하려면…독서하라, 멘토 정하라, 명상하라”
  3. 3마린시티 ‘영화의 거리’ 노후…12년 만에 손 보기로
  4. 4교통비 환급되니 버스·도시철 더 탄다…동백패스 선순환
  5. 5형제복지원 해외입양 진짜였다…진실화해위, 최소 31명 확인
  6. 6부산남구문화재단 9월 문 연다…정관 제정 등 설립작업 본격화
  7. 7정원보다 80여 명 더 온 청중 ‘메모 열기’…휴식시간 ‘깜짝 탱고쇼’ 분위기 달아올라
  8. 8檢, 서부지법 침입·난동 63명 영장 청구
  9. 9늦었다고요? 열정과 도전으로 영원한 청년의 삶
  10. 10부울경 시도지사, 수도권 일극체제 맞대응 논의키로
  1. 1김도영 연봉 5억…역대 4년 차 최고
  2. 2롯데 대만전훈 참관단 모집
  3. 3김하성, 이정후와 한솥밥? MLB닷컴, SF행 불지펴
  4. 4바도사, 호주오픈 女단식 4강 선착
  5. 5MLB 3089개 안타 전설 이치로, 명예의 전당 만장일치 입성할까
  6. 6프로농구 PO 4월 12일 점프볼
  7. 7“내 강점은 핸들링·빠른발”…군필 기대주 롯데 한태양 [부산야구실록]
  8. 8KLPGA 4월 부산서 국내 개막전
  9. 9‘윤나고황’·손호영 억대 연봉 진입
  10. 10손흥민 침묵한 토트넘, 리그 3연패 수렁
위기가정 긴급 지원
유흥가 건물 옥상서 생활…이사비 도움 절실
부산 대중교통 이용 UP
교통비 환급되니 버스·도시철 더 탄다…동백패스 선순환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