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기장 해수담수화 수돗물에 대해 ‘식수(생활용수) 외 다른 대안이 없다’고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국제신문 취재 결과 확인됐다. 해수담수화 수돗물의 식수 사용을 놓고 지금까지 시와 주민들이 3년 넘게 갈등을 빚어왔던 것을 감안하면 결국 ‘다시 제자리’라는 비판이 인다.
특히 시는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문제를 풀지 못하면 미래 산업의 일환으로 서부산권에 조성할 계획이었던 제2 해수담수화 시설 역시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관련 사업이 줄줄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의 설명을 종합하면 본부는 오거돈 부산시장의 지시로 지난 3개월 동안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왔다. 전체 하루 생산량은 4만5000t인데, 현재는 원전 냉각용수 활용 1만t 외에는 별다른 사용처를 찾지 못한 상태다. 본부는 우선 정수를 거쳐 만들어진 수돗물을 활용해 친환경 수소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투자비만 18조9000억 원이 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공업용수로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됐지만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 단가가 비싸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별도로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담수 추출 후 남는 고농도 염분수(하루 5만5000t)를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됐으나 이 역시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염분차 발전의 경우 지난 1월 GS건설에서 실험한 결과 1t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기가 1㎾에 불과했다. 또 소금 생산도 가능하지만, 단가가 중국산에 비해 1.5배 이상 비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시가 별다른 대안 없이 ‘해수담수 수돗물의 식수 공급’을 놓고 공론화에 나설 경우 다시 한번 사회적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식수 공급 쪽으로 결론이 나면 기장군 주민들의 반발이 더욱 커질 것이 뻔하고, ‘공급 불가’ 결론이 나면 1954억 원(국비 823억 원, 시비 425억 원, 민자 706억 원)이 투입된 시설에 대한 ‘혈세 낭비’ 논란이 거셀 수밖에 없다.
이처럼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문제를 풀지 못할 경우 1조3000억 원이 투입되는 서부산권 담수화 글로벌 허브도시 육성 사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는 지난해 5억 원이나 들여 용역을 실시하고 가덕도 해수담수화 시설 추가 설치 등 글로벌 허브도시 육성 사업을 추진할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해수담수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걷히지 않는 상황에선 추가 시설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시는 보고 있다. 부산시 기후환경국 관계자는 “이미 수천억 원을 투입한 시설의 물도 처리를 못 하는 상황에서 또 엄청난 예산을 들여 제2의 해수담수화 시설을 짓는 것은 부담스럽다. 해수담수에 대한 인식을 바꾸지 않으면 이 사업 역시 첫 삽도 뜨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송이 박호걸 기자 rafael@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