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망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존 마크 램지어 교수를 향한 규탄 성명이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부산대에서 나왔다.
부산대 대학원학생회는 31일 오후 학내 인덕관 대회의실에서 ‘하버드대 로스쿨 존 마크 램지어 교수 규탄 성명’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역 대학에서 램지어 교수를 비판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31일 오후 부산 금정구 부산대 인덕관 대회의실에서 부산대 대학원생학생회가 하버드대 존 마크 램지어 교수의 역사왜곡 논문 철회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사죄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서정빈 기자 photobin@kookje.co.kr |
학생회는 논문 생산자이자 후배 학자로서 논문을 역사왜곡 수단으로 전락시킨 ‘선배 학자’ 램지어 교수를 규탄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들은 램지어 교수가 ▷논문의 근거를 날조하거나 왜곡해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한 점 ▷학문의 자유를 남용해 논문을 역사 부정론의 도구로 악용한 점 등을 지적했다.
이어 논문을 즉각 철회하고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판물 검토 의무를 방기해 사태에 일조한 국제법경제리뷰 학술지에도 논문 게재를 취소하고 재발 방지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양현보 대학원학생회장은 “논문을 써야 하는 예비학자로서 특히나 이번 이슈에 분노한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뜻이 모인 것”이라며 “램지어 교수가 논문 출판을 강행하려 하고 하버드대도 학문의 자유라는 이유로 징계를 거부하는 걸 보면서 가만히 있으면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램지어 교수는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국제법경제리뷰’에 ‘태평양전쟁에서의 성 계약’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논문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해 논란을 빚었다. 국내외 역사학계 전문가들이 해당 논문의 학술적 오류와 연구윤리 위반을 비판하고 있지만, 아직 논문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
김민주 배지열 기자 min87@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