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통영~한산도 야간 뱃길 3년 만에 중단

시, 협약 따라 운영손실금 삭감

카페리 선사 "적자 감당 못해"

섬주민 이동 및 관광 활성화 제약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경남 처음으로 섬을 잇는 야간뱃길(국제신문 2022년 3월 1일 자 9면 보도 등)이 운항 3년 만에 중단됐다. 통영항과 한산도를 오가는 야간 여객선이 운항을 멈추면서 섬 주민의 이동권을 제약하고 ‘밤이 아름다운 도시 통영’의 브랜드 이미지를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경남 최초로 섬으로 향하던 여객선 야간 뱃길(통영항~한산도)이 운항 3년 만에 중단됐다. 섬 주민의 이동권이 제약되고 ‘밤이 아름다운 도시 통영’ 브랜드 이미지에도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국제신문DB
여객선사 한산농협은 통영항과 한산도를 오가던 카페리 여객선 ‘한산농협 카페리1호’가 지난 1일부터 야간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고 3일 밝혔다. 올해 통영시가 운영손실비 지원 예산을 40% 삭감하면서 누적되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었다는 이유다.

야간 카페리 여객선은 2022년 3월 1일 경남 처음으로 통영항과 한산도 제승당을 오가는 항로에 투입됐다. 정원 250명과 승용차 30대를 싣을 수 있는 이 여객선은 오후 7시30분 통영항을 출항해 한산도 제승당에 닿은 후 오후 8시40분 통영항으로 돌아오는 코스로 운항됐다.

야간 뱃길이 열리면서 섬 주민의 이동권이 보장되는 등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됐다. 육지 나들이에 나선 섬 주민이 시간에 쫓겨 배 타기를 포기하고 육지에서 숙박하는 불편이 해소됐다. 통영 관광산업에도 도움이 됐다. 국내 첫 야간관광 특화도시라는 명성에 걸맞게 통영항의 야경을 선상에서 즐기는 감동을 선사했다.

야간 카페리를 위해 매년 경남도는 여객선터미널 운영비 1억 원을 지원하며, 통영시는 여객선사인 한산농협에 운영손실금 1억5000만 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통영시가 올해부터 여객선사에 지원하던 운영손실금을 40% 줄이면서 야간 카페리를 계속 운영하는 건 어렵게 됐다. 시는 2022년 한산농협과 체결한 ‘통영항~한산도 여객선 야간운항을 위한 업무 협약’에 따른 조처라는 설명이다. 협약에 따르면 시는 처음 2년에만 운영손실금을 100% 지원하고, 이듬해부턴 매년 지원비를 20%씩 줄이기로 했다. 다만 지난해에는 20%를 삭감하지 않고, 올해는 협약에 따라 40%를 깎았다.

한산농협은 야간 운항의 특수성을 고려해 운영손실금 삭감 철회를 수차례 건의했으나 협약에 따른다는 답변만 받았다. 한산농협은 연간 1억5000만 원을 받은 지난 3년 동안에도 매달 1000만 원 이상의 적자를 감당하며 섬 주민을 위한 야간 운항을 계속해왔다.

한산농협 관계자는 “야간 운항을 하려면 추가 인건비와 섬마을 버스 투입 등 매년 1억 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지원금을 40% 줄이면 적자폭을 감당할 수 없어 야간운항을 중단한다”고 말했다.

야간 운항 중단에 따른 섬 주민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한 주민은 “다른 지자체는 섬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는데, 지원은커녕 홀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섬 주민 이동권 보장과 야간 관광 활성화에 대한 통영시의 의지가 없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장제원 비보 부산정가 충격 “과오 떠나 동료로서 안타까워”
  2. 2윤핵관의 핵관…무소속 당선·불출마 부침 속 58년 生 마감
  3. 3대저·엄궁대교 우여곡절 끝 착공…2030년엔 만성체증 숨통
  4. 4195억 짜리 공영주차장, 정식운영 6개월 만에 ‘누더기’
  5. 5계엄 입장 요구 농성 참여한 공무원…부산 남구, 市에 중징계 요구
  6. 6‘재건축 대어’ 대우마리나, 신탁 아닌 조합방식에 무게
  7. 7을숙도 ‘1호 국가도시공원’ 만들기, 이성권 의원이 뛴다
  8. 84일 尹 탄핵선고…대한민국 향방은(종합)
  9. 9‘부도’ 김해중앙병원, 김해복음병원이 새주인
  10. 102일 부산교육감 재선거…중도층 투표율이 당락 가른다
  1. 1장제원 비보 부산정가 충격 “과오 떠나 동료로서 안타까워”
  2. 2윤핵관의 핵관…무소속 당선·불출마 부침 속 58년 生 마감
  3. 3을숙도 ‘1호 국가도시공원’ 만들기, 이성권 의원이 뛴다
  4. 44일 尹 탄핵선고…대한민국 향방은(종합)
  5. 5전원일치면 이유부터 낭독 관례…의견 갈리면 주문 읽어(종합)
  6. 6與 “헌재, 공정한 결정 기대…기각” 野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 확신”(종합)
  7. 7韓 대행,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野 “소액주주 권리 짓밟는 폭거”(종합)
  8. 8경남·경북 재난특교세 226억 추가 지원
  9. 9선거법 무죄 이재명, 지지율 50% 육박(종합)
  10. 10탄핵 정국서 첫 광역단위 선거…‘尹마케팅’ 효과 여부 이목집중
  1. 1‘재건축 대어’ 대우마리나, 신탁 아닌 조합방식에 무게
  2. 2“거부권 반대” 이복현 금감원장 거취 촉각
  3. 3부산 中企에 최대 9억 운전자금…관세피해 지원 강화한다
  4. 4디지털화폐 체험하고 경품선물도 받으세요
  5. 5금감원 “MBK, 홈플 신용등급 강등 알고 회생 진행한 정황”
  6. 6“여성기업인 권익보호 앞장…경영컨설팅 등 지원”
  7. 7실손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보상 한도는 일당 20만 원으로 제한
  8. 8주가지수- 2025년 4월 1일
  9. 9철도(부산진역~부산역) 위 ‘축구장 9개 크기’ 데크 덮어…공원·상가 등 조성(종합)
  10. 10부산 줄지 않는 ‘악성 미분양’…세제 완화 등 특단책 절실(종합)
  1. 1대저·엄궁대교 우여곡절 끝 착공…2030년엔 만성체증 숨통
  2. 2195억 짜리 공영주차장, 정식운영 6개월 만에 ‘누더기’
  3. 3계엄 입장 요구 농성 참여한 공무원…부산 남구, 市에 중징계 요구
  4. 4‘부도’ 김해중앙병원, 김해복음병원이 새주인
  5. 52일 부산교육감 재선거…중도층 투표율이 당락 가른다
  6. 6차도·인도 구분없이 난폭 질주…명지는 지금 ‘자전거와의 전쟁’
  7. 7구장 안전사고 책임은 구단? 지자체? 경찰, 중처법 수사 착수
  8. 8부산시 올해 2조 투입, 일자리 19만2000개 만든다
  9. 9녹색산업 특성화대학원에 부산대·부경대…국비 40억 지원
  10. 10전국 日뇌염모기주의보
  1. 1레이예스 마저 2년차 징크스?
  2. 2양키스 1경기 9홈런…‘어뢰 배트’ 화제
  3. 3황유민·박현경 등 퀸 대결…KLPGA 18년 만에 부산 개막전
  4. 4167㎞ 총알 2루타…이정후 4경기 연속 출루
  5. 5전북 52명 K리그 등록 최다, 아이파크 33명…U-22 13명
  6. 6헬멧 벗겨질 정도로 달린 이정후, 시즌 첫 멀티히트
  7. 7손흥민·지소연, 축구협회 올해의 선수…통산 최다 8번째 수상
  8. 8물먹은 솜방망이…‘봄데’도 옛말
  9. 9짜릿한 역전극…김효주 통산 7승
  10. 10‘누나 그늘’ 벗어난 교포 이민우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하루 3000원 모든 대중교통 이용…고물가 신음 獨국민 열광
위기가정 긴급 지원
치아 없어 건강 악화…틀니 시술비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