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트리 쓰러트리고, 교회 도로 막고…‘성탄절 지우기’ 나선 중국

시진핑 “중국 문명 부활” 영향에 일부 지역선 산타복장 금지되고 초등생 “서양명절 거부” 구호도

  • 디지털콘텐츠팀 inews@kookje.co.kr
  •  |   입력 : 2017-12-25 19:38:33
  •  |   본지 13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네티즌 “‘맑스주의’도 서양 사상”

중국 당국이 ‘성탄절 보이콧’ 운동에 나서면서 대형 크리스마스트리가 사람들에 의해 쓰러지는 등 성탄절 분위기가 최악으로 가라앉았다고 홍콩 빈과일보 등이 25일 전했다.

중국의 한 도시에서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를 쓰러뜨리는 모습. 홍콩 빈과일보 캡처
빈과일보와 동방일보에 따르면 지난해까지만 해도 중국 관영 매체인 신화통신과 중국중앙(CC)TV가 성탄절 전야 길거리의 넘쳐나는 인파와 흥겨운 분위기를 전하는 등 성탄절 배척 분위기가 그리 강하지 않았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의 일류 호텔은 예약이 꽉 차서 식당에 자리를 잡기 힘들 정도로 성탄 경기가 한껏 고조됐다.

하지만 지난 10월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이 중국 문명의 위대한 부활을 주창한 후 분위기는 확 달라졌다. 신화통신, CCTV 등 관영 매체에서 성탄절 관련 보도는 자취를 감췄고, 일류 호텔의 식당 예약률은 지난해보다 뚝 떨어졌다.

중국 공산당은 주요 기관, 대학, 공산주의청년단 등에 성탄절 활동에 참여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 일부 지역에서는 산타클로스 복장을 하거나 가게 앞에 크리스마스트리 및 장식을 설치하는 것도 금지됐다.

상하이의 한 방송국은 프로그램이나 광고 등에서 성탄절 장식 등을 노출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인터넷에서는 야외에 설치된 한 대형 크리스마스트리에 사람들이 몰려와 이를 쓰러뜨리는 동영상이 확산하고 있다. 다른 동영상에서는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 학생들이 교사의 지시에 따라 큰 소리로 “서양의 명절을 거부한다. 우리 문명을 계승해 중국 명절을 지내자”는 구호를 외치는 모습이 포착됐다. 산둥성의 한 기업은 사람들을 조직해 가두 행진을 벌이면서 “수입품을 배척하고 국산품을 쓰자. 성탄절을 지내지 말고, 우리 중화를 사랑하자. 마오쩌둥 주석 만세” 등의 구호를 외쳤다.

명보에 따르면 광저우의 한 교회에서는 크리스마스 전날 사람들이 몰려들자 경찰이 나서 도로를 막고 사람들에게 돌아갈 것을 권유하기도 했다.

당국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예루살렘’으로 불릴 정도로 개신교도가 많은 저장성 원저우시에서는 성탄절 축하 가두행진이 벌어졌다. 원저우시는 전체 인구의 10%인 90만 명가량이 기독교도일 정도로 기독교 세가 강하다.

시 주석 집권 후 중국 정부는 기독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해 2014년부터 이 지역의 2000여 개 교회에 있는 십자가를 모두 철거했다.

중국 당국의 성탄절 보이콧 운동에 상당수 중국 네티즌들은 냉소를 금치 못했다. 한 네티즌은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 서기(西紀), 신정(新正) 등이 모두 서양에서 들어온 것인데, 이 모든 것을 금지하란 말이냐”고 조소를 보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밤새 부산을 걷다
  2. 2한일시멘트 땅에 복합문화공간 선다, 공공기여협상 본궤도…9월께 마무리
  3. 3곧 입주하는 에코델타…도시철 앞서 굴절버스 도입 추진
  4. 4[국제칼럼] 시민은 ‘청년이 돌아오는 부산’을 원한다
  5. 5남천동 벚꽃, 이번주 활짝
  6. 6홈개막 3연전 매진…사직 상권 단비같은 특수
  7. 7진흥상운㈜, 부산 동래구 수민동에 성금 기탁
  8. 8[해양수산칼럼] 해수면 상승과 부산, 해양산업 미래를 위한 도전
  9. 9팬 응원에 11회 극적 동점…롯데 첫 위닝시리즈는 불발
  10. 10교육감 사전투표율 5.87% 역대 최저…막판 이틀 ‘조직 결집’이 판세 가를 듯
  1. 1‘헌재 재판관 임기 개정’도 여야 충돌
  2. 2부산시의회 “체육인 복지 중·장기 로드맵 필요”
  3. 3尹선고 결국 4월로…野 “내각탄핵” 與 “내란선동” 극한대치
  4. 4산불 예비비 공방…野 “예산충분” 與 “사기극”
  5. 54·2부산시교육감 선거 Q&A ③ 투표와 개표
  6. 6내달 18일 2명 퇴임 전 ‘8인 헌재’ 尹탄핵 결론낼까
  7. 7[속보] 박찬대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안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8. 8이재명, 尹탄핵심판 선고 지연에 "헌재, 고충 막중할 것…현명한 결정 신속히 요청"
  9. 9조국혁신당 "4월 4일까지 尹선고일 지정안하면 헌재 상대 위자료 집단소송"
  10. 10與, 野 줄탄핵 경고에 "삼권분립 부정하는 쿠데타" 비판
  1. 1한일시멘트 땅에 복합문화공간 선다, 공공기여협상 본궤도…9월께 마무리
  2. 2[뉴스 분석] ‘윤석열 사단’ 이복현의 홀로서기?
  3. 3한국 온 MS수장, 추론 기반 ‘AI에이전트’ 첫 선…국내기업 협업 강화
  4. 4대체거래소, 하루 거래대금 2조 돌파
  5. 5외국인 판 조선주 산 개미…1분기 쓴잔
  6. 6BNK도, 4대 금융지주도…주총 화두는 밸류업
  7. 7미국 상호관세 부과 초읽기…경쟁국보다 낮은 세율 사활(종합)
  8. 831일 공매도 전면 재개…KRX, 점검시스템 가동
  9. 9가족별 목소리 구분도…진화한 비스포크AI 가전제품
  10. 10대체거래소 프리마켓 주가 급등락…금감원, 투자자 ‘추종 매매’ 주의보
  1. 1곧 입주하는 에코델타…도시철 앞서 굴절버스 도입 추진
  2. 2남천동 벚꽃, 이번주 활짝
  3. 3홈개막 3연전 매진…사직 상권 단비같은 특수
  4. 4교육감 사전투표율 5.87% 역대 최저…막판 이틀 ‘조직 결집’이 판세 가를 듯
  5. 5산청·하동 주민 1인당 30만 원 재난지원금(종합)
  6. 6동백패스 원조 ‘독일티켓’ 성공 뒤엔 관료주의 혁파 ·정파 초월 대의 있다
  7. 7‘단일대오’ 깨진 의대생 속속 복귀…등록 후 수업거부 등 변수는 남아(종합)
  8. 8하루 3000원 모든 대중교통 이용…고물가 신음 獨국민 열광
  9. 9거제시장 재선거 막판 맞고발 과열(종합)
  10. 10콜센터 열고 지역특화 비자도…市, 외국인 정착 돕는다
  1. 1팬 응원에 11회 극적 동점…롯데 첫 위닝시리즈는 불발
  2. 2후반 40분 페널티킥 동점골 허용…아이파크 3연승 눈앞에서 놓쳤다
  3. 3시동 건 이정후, 첫 안타·타점·도루 신고
  4. 4프로농구 KCC, 홈 8연패 수모
  5. 5피겨 차준환, 세계선수권 7위
  6. 6김효주·유해란, 역전승 도전
  7. 7교포 이민우, PGA 첫 승 기회
  8. 8우아한 연기…피겨 이해인 세계선수권 쇼트 7위
  9. 9시범경기 맹타 배지환, 2년 만에 MLB 개막 로스터
  10. 10부산 KCC "홈 팬들에게 좋은 모습 보여주려고 했지만…"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