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판 '기쁨의 마법 상자' 표지.(주디 메이스필드의 표지화, 왼쪽), 존 메이스필드. |
- 작가 '바다의 시인'불린 계관 시인
- 크리스마스 맞아 고향 가던 케이
- 마법 상자 얻은후 벌어지는 모험
- 수많은 오페라·연극으로 재탄생
- 영화 '해리 포터' 감독 차기작
영국에서 요정이야기는 1875년 프랜시스 브로윈의 '할머니의 신기한 의자'를 끝으로 사실상 사라지고, 요정이야기와 마찬가지로 현실에서 불가능한 이야기들이 어린이에게 아무런 해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인정되면서 판타지 문학이 그 뒤를 잇는다. 빅토리아 시대 최고의 걸작 중 하나인 리처드 행기스트 혼의 '어느 런던 인형의 추억(1846)'은 기술적인 면에서 판타지로 분류되지만, 본격적인 판타지 문학은 1862년 찰스 킹즐리의 '물의 아이'로부터 시작되어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 조지 맥도널드의 '북풍 뒤에서(1871)', 몰스워스 부인의 '뻐꾸기시계(1877)'로 이어진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잠시 멈칫하지만, 1935년 존 메이스필드의 '기쁨의 마법 상자'가 그 뒤를 이었다.
우리에게는 '바다의 시인'으로 더 잘 알려진 존 메이스필드는 1878년 영국 레드버리에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3세 때 학교 실습선 콘웨이호에서 선원교육을 받은 후, 15세에 범선의 실습생이 되어 케이프혼에서 칠레로 원양 항해를 했다. 1895년 뉴욕으로 건너가 농원, 술집, 공장 등에서 거친 일을 하며 시를 썼다. 2년 후 영국으로 돌아가 본격적으로 바다에 관한 시를 썼으며, 1930년에는 계관 시인의 영예를 얻었다. 그는 1927년 처음으로 어린이를 위한 책 '한밤의 사람들'을 출간하지만, 존 메이스필드의 명성을 세상에 널리 알린 것은 1935년 발표한 '기쁨의 마법 상자'이다.
케이는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내기 위해 기차를 타고 고향으로 향한다. 집으로 가는 길에 케이는 떠돌이 인형극 할아버지와 수상한 사람들을 만난다. 할아버지는 케이에게 알 수 없는 말들을 전하며, 상자 하나를 건넨다. 그 상자는 생쥐처럼 몸을 작게 만들 수도 있고 순간 이동도 가능하게 하는 마법 상자였다. 악당들은 그 상자를 손에 넣기 위해 마을 사람들과 대성당의 주교와 성직자, 아이들까지 닥치는 대로 납치해 간다. 케이는 경찰을 찾아가지만 아무도 케이의 말을 믿어주질 않자, 스스로 마을 사람들을 구하러 나선다.
크리스마스 예배를 다 함께 드리려면 크리스마스 전날까지 사람들을 모두 구해야 하는 임무가 주어진 것이다. 케이는 마법 상자의 도움으로 시공간을 초월한 여행을 한다. 마법 상자를 놓고 악당들과 아슬아슬하고 숨 막히는 대결을 벌이기도 하고, 벌레만큼 작아진 채로 케이가 마법 상자를 잃어버리기도 한다. 위기 때는 친구들의 도움을 받으며, 마침내 악당들을 물리치고 납치된 성직자와 사람들을 구해 크리스마스 자정에 열리는 예배를 무사히 치를 수 있게 한다. 신화 속 인물인 사냥꾼 헌, 반지를 낀 참나무 숙녀, 성직자로 위장하여 마을 사람들을 납치하는 악당 등 독특한 캐릭터들이 이야기의 재미를 더한다. 존 메이스필드의 딸인 주디스 메이스필드가 삽화를 그렸는데, 신비롭고 긴장감 넘치는 글의 분위기를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작품은 라디오와 텔레비전 시리즈로 방영되기도 했으며, 수많은 오페라와 뮤지컬, 연극 등으로 각색되어 지금까지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메이스필드는 이 작품에서 계관 시인다운 예민한 감각으로 판타지에 마법이라는 새로운 도구를 도입함으로써 상상의 영역을 넓혔다. 마법의 상자를 통해 독자들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과거와 현재, 미래를 마음껏 넘나드는 신비한 경험을 하게 된다. 치밀하고 짜임새 있는 플롯과 감각적인 표현, 짜릿한 모험과 환상 등으로 '기쁨의 마법 상자'는 판타지의 교과서로 불리면서, 많은 작가에 영향을 끼친다. 마법의 상자는 1930년대 가장 뛰어난 판타지로 평가받은 존 로널드 루엘 톨킨의 '호빗(1937)'에서 '절대 반지'로 새롭게 태어나고, 크리이브 스테플스 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1950)'를 거쳐 조앤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1997∼2007)'로 이어진다. 조앤 롤링은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에서 전문 마법사를 양성하는 마법학교를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메이스필드의 '기쁨의 마법 상자'는 21세기 영국 판타지 문학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해리 포터와 불의 잔'을 만든 마이클 뉴웰 감독이 차기 작품으로 '기쁨의 마법 상자'를 예정하고 있어 이 작품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1985년 스티븐 스필버그의 환상 영화 '구니스'를 시작으로 영화계에도 서서히 판타지의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2001년 피터 잭슨은 영화 '반지의 제왕'을 개봉하면서 영화에서 불가능한 현실은 없다고 선언했다. '나니아 연대기'에 이어 최근에는 '반지의 제왕' 전편이라 할 수 있는 '호빗'이 개봉되었다. 폭력 영화에 지친 관객들에게 판타지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독 사회학자 한병철은 현대사회를 '피로사회'로 규정했다. 피로사회를 사는 현대인들이 판타지에 열광하는 것은 신비와 호기심으로 가득 찬 동심 세계로의 회귀현상으로 설명할 수 없을까.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취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