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이원 기자의 Ent 프리즘] 흥행 양극화 심한 한국 영화 "목표는 손익분기점 넘는 것"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제작사 대표나 투자사 사람들을 만나면 항상 "이번 영화는 손익분기점을 넘겼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감독이나 배우들도 마찬가지다. 도대체 손익분기점(BEP·Break-Even Point)을 넘기는 것이 얼마나 어렵기에 한결같이 이 얘기를 하는 걸까?
영화 '프리즌'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영화의 손익분기점에 관해 이야기하려면 먼저 영화 제작비를 살펴보아야 한다. 영화진흥위원회의 2016년 한국영화산업 결산보고서에 따르면, 일반 관객이 주로 찾은 2016년 한국 핵심상업영화군에 속하는 59편의 평균 총제작비는 60억 원(순제작비 42억9000만 원+마케팅비 17억1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들 59편 중 30%인 18편만이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즉, 10편 중 3편 만이 극장 수입으로 이익을 냈다는 것이다. 그래서 충무로에서 오래전부터 나오는 이야기가 "영화 10편 제작하면 3편 이익 남기고, 3편 손해 안 보고, 4편 손해 본다"는 것이다. 영화 제작으로 성공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영화 흥행 성패의 기준이 되는 손익분기점을 계산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 기본은 영화관 입장료에서 시작된다. 다양한 영화관 입장요금 체계가 있지만 보통 8000원을 기준으로 삼는다. 8000원에서 부가가치세 10%와 영화발전기금 3%를 먼저 떼고, 그 나머지 중 절반은 극장에 돌아간다. 그러면 3500원 정도가 남는데, 이중 배급사에 돌아가는 10%를 떼면 3150원이 영화 제작을 맡은 투자사와 제작사 몫이 된다. 3150원에 관객 수를 곱한 금액으로 손익분기점을 계산하는 것이다. 그래서 보통 100만 관객을 30억 원으로 본다.

지난 5일까지 누적 관객 수 237만8152명(영진위 통합전산망 기준)을 기록한 한석규, 김래원 주연의 '프리즌'(개봉 3월 23일)을 예로 보자. '프리즌'의 총제작비는 80억 원(순제작비 60억 원+마케팅비 20억 원)으로 240만 명이라는 적지 않은 관객 수임에도 이제서야 손익분기점을 넘어섰다.

또 올 여름 개봉하는 류승완 감독, 송중기·소지섭 주연의 '군함도'의 경우 총제작비가 270억 원 정도 들어갈 예정인데, 그렇다면 800만~900만 명의 관객이 들어야 수지타산이 맞는다는 이야기가 된다. 제작비를 줄이기 위해 1, 2편을 동시에 제작하는 김용화 감독과 하정우·차태현 주연의 '신과함께'는 총제작비가 무려 350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니 손익분기점이 될 관객 수가 어림짐작 된다. 요즘은 영화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IPTV 시장 매출이 늘어나 실제 손익분기점이 되는 관객 수는 조금 낮아졌지만 순수하게 극장 매출로만 보면 이런 상황이다.

안타깝지만 '프리즌'과 같은 날 개봉한 손현주 주연의 '보통사람'은 좋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지난 5일까지 누적관개수 37만8223명을 기록했다. 총제작비가 46억 원이니 꽤 큰 손해를 봤다. 이렇듯 '되는 영화만 되고, 중간 없이 양극단의 흥행만 있다'는 우려 섞인 푸념이 충무로에서 나오고 있는 가운데 "목표는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것이다"가 괜한 말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latehope@kookje.co.kr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금강공원, 민간업자도 손뗐나…14년째 진척없는 재정비 사업
  2. 2부산 빈집을 마을호텔로…내국인도 묵게해 관광상품화 추진
  3. 3한탑, 공장 이전에 이례적 특혜 요구…市는 난색
  4. 4中서 베트남으로 옮겼는데 또 관세폭탄…부산기업들 비상
  5. 5‘배우 리스크’에 휘청이는 작품들…‘승부’‘소방관’ 완성도로 돌파
  6. 6하프피칭 최준용, 롯데 필승조 ‘마지막 퍼즐’
  7. 7[뭐라노] ‘격동기’ 자갈치아지매
  8. 8자갈치아지매시장 점포 추첨 파행…6월 개장 물 건너갔다
  9. 9이재명 “선택적 모병제 운영…수십만 청년, 병영에 가두는 것 비효율”
  10. 10[근교산&그너머] <1411> 남해바래길 노도~구운몽길
  1. 1이재명 “선택적 모병제 운영…수십만 청년, 병영에 가두는 것 비효율”
  2. 2이재명 “선택적 모병제 운영…수십만 청년, 병영에 가두는 것 비효율”
  3. 3[속보] 이재명 "임기내 세종에 대통령집무실·국회의사당 건립"
  4. 4박수영, 시당위원장 ‘한시적’ 사퇴 논란
  5. 5국힘 1차 경선 8명…‘3강+2중’ 속 티켓 4장 치열한 쟁탈전(종합)
  6. 6불출마부터 무소속까지…김두관 측 “모두 논의”(종합)
  7. 7경선승패 달린 현역 지지…캠프별 배지 확보전(종합)
  8. 8대선 앞 다시 목소리 높인 글로벌허브특별법
  9. 9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가처분 인용(종합)
  10. 10국민의힘, 대선 경선 미디어데이…후보들은 인터뷰·정책발표
  1. 1부산 빈집을 마을호텔로…내국인도 묵게해 관광상품화 추진
  2. 2中서 베트남으로 옮겼는데 또 관세폭탄…부산기업들 비상
  3. 3[뭐라노] ‘격동기’ 자갈치아지매
  4. 4에어부산, 울란바토르行 노선 재개…베트남항공, 부산~나트랑 신규취항
  5. 5부전 하나로마트, 국산 농축수산물로 승부수
  6. 6“국내서 새 라인업 계속 출시” 한국GM 철수설 일축
  7. 7금융지주, 작년 당기순이익 23조 대…상생압력 더 커진다
  8. 8럭셔리 크루즈 팬스타미라클, 결함으로 운항 차질
  9. 9주가지수- 2025년 4월 16일
  10. 10‘방카슈랑스 25% 룰’ 20년 만에 변경
  1. 1금강공원, 민간업자도 손뗐나…14년째 진척없는 재정비 사업
  2. 2한탑, 공장 이전에 이례적 특혜 요구…市는 난색
  3. 3[뭐라노] ‘격동기’ 자갈치아지매
  4. 4자갈치아지매시장 점포 추첨 파행…6월 개장 물 건너갔다
  5. 5허위 진단서 만들어 45일 병가·휴가…부산 공무원 1심 집유
  6. 6수업참여율 여전히 낮지만…내년 의대 증원 ‘0명’ 가닥(종합)
  7. 7싱크홀 재난사고인데…부산시민안전보험 보장 없다?
  8. 8부산시의회 '엑스포 유치' 해외출장비 부풀리기 의혹에 경찰 조사
  9. 9부산외대, 2025-1 PSC학습공동체 OT 성료
  10. 10[뭐라노] 내년 의대 증원 '0명' 가닥
  1. 1하프피칭 최준용, 롯데 필승조 ‘마지막 퍼즐’
  2. 2[인사이드 아웃사이드] 사직구장 안전성 그냥 믿으라? 시민은 불안하다
  3. 32루타 재가동 이정후, 1루 주자 보살까지
  4. 4올림픽 야구 44년 만에 다저스타디움서
  5. 5FC바르셀로나·PSG, 챔피언스리그 4강행
  6. 6악착같은 야구, 결정적 한 방…이래서 정훈
  7. 7[뭐라노] 구도 부산 '북항 야구장' 시대 열자
  8. 8좌승사자 반즈 무섭네 무서워…롯데 첫 5할 승률 공동 4위
  9. 9주간 OPS 1.416 이정후, NL ‘이주의 선수’ 무산
  10. 10백기태호, U-17 아시안컵 극적 4강행
수장고에서 찾아낸 유물이야기
유성기
시인 최원준의 음식문화 잡학사전
부산 해물탕
궁리와 시도 [전체보기]
영화, 독특한 맛의 변주…요리사 출신 감독의 기묘한 기행
시간여행 ‘환상’을 매개로 냉정한 현실 다뤄…“작은 감정이라도 느끼게 하는 영화이길”
리뷰 [전체보기]
88세 현역 춤꾼과 신예, 작품은 달라도 치열함은 같다
신인이 이끈 시립극단 정기공연 ‘박수 갈채’
문화레시피 [전체보기]
분장실·연습실·객석이 다 무대…청년 연극인 100인의 특별한 실험
불경기에도 많은 관람객…청년·신진작가 약진 눈길
박현주의 신간돋보기 [전체보기]
디지털 시니어 트렌드 분석 外
그림과 함께 보는 시산문 50편 外
박현주의 책 이야기 [전체보기]
무슨 일 하세요? 묵묵히 살아가는 소시민 이야기
따라 썼을 뿐인데…디지털시대, 필사가 주는 힘
아침의 갤러리 [전체보기]
피그마-INNER PEACE
문지영-나무가된여자(들)
이 한편의 시조 [전체보기]
비움이 말을 걸다 /박경연
4월엔 편지를 쓰네 /권영숙
이원 기자의 드라마 人 a view [전체보기]
‘트렁크’ 서현진 정윤하
배우 문소리의 전천후 행보
이원 기자의 영화 人 a view [전체보기]
‘검은 수녀들’ 송혜교
‘하얼빈’ 현빈
이원 기자의 Ent 프리즘 [전체보기]
영화 ‘수상한 그녀’ 흥행 10년…K-드라마로 다시 안방 흔들까
일반인 출연자 잇단 스캔들, 검증 문제 도마 위에
조재휘의 시네필 [전체보기]
타인까지 치유하는 힐링의 여정
사제(師弟)에서 도반(道伴)으로
주말 영화 박스오피스 [전체보기]
‘승부’ 손익분기점 180만 명 돌파…‘야당’ 예매율 1위
‘승부’ 42만 동원 2주째 1위…‘로비’ 개봉 첫주 2위
뭐 볼까…오늘의 TV- [전체보기]
뭐 볼까…오늘의 TV- 2025년 2월 20일
뭐 볼까…오늘의 TV- 2025년 2월 19일
방호정의 컬쳐 쇼크 & 조크 [전체보기]
세이수미의 새로운 이야기 EP [Time is Not Yours]
보사노바 가득한 애니 ‘그들은 피아노 연주자를 쐈다’
오늘의 운세- [전체보기]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7일(음력 3월 20일)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6일(음력 3월 19일)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전체보기]
봄날 좋은 기운을 읊은 고려시대 문사 민사평
봄비 내린 뒤 시 읊은 조선 전기 문사 기대승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