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금여력 있는 극단만 유리할 것”
- 실연 아닌 영상평가도 반발 불러
부산연극협회(이하 협회)가 부산연극제의 축제화를 추진(국제신문 지난 15일자 2면 보도)하는 방침에 대해 일선 극단이 반발하면서 내홍이 일고 있다.
협회는 대한민국 연극제의 ‘지역예선’성격인 연극제를 축제화해 연극 무대에 대한 시민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연극제가 축제화로 전환되면 지역예선은 별도로 치러져야 한다. 하지만 일선 극단들은 지역예선의 진행 시기와 평가 방법 등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가 미흡한 상황에서 졸속으로 추진된다며 반대하는 입장이다.
26일 연극계의 이야기를 종합하면 협회는 지난 20일 회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지난 13일 공청회에서 다뤄졌던 부산연극제 축제화와 지역예선 분리 방안에 대한 내용을 요약해 홈페이지에 올리니 참고해서 의견을 내달라’는 내용이다. 공청회 당시 전체 회원이 참석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후에 의견 수렴을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협회는 당장 내년부터 축제 성격의 연극제와 대한민국 연극제의 지역예선 이원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연극계도 축제화를 통한 저변 확대 취지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다. 하지만 극단들은 시기가 빠듯해 하반기 공연이 예정되지 않은 극단은 변화된 예선전을 치르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협회는 대한민국 연극제의 예선전 출품(영상) 기한을 오는 12월 하순(가안)으로 정했다. 작년까진 희곡과 연극 계획서 등 서류 로 1차 심사를 진행했지만, 올해는 비슷한 시기에 완성된 작품을 제출해야 해 부담감이 크다.
대한민국 연극제 출품작 대부분이 중극장 이상 규모라는 것을 고려하면 규모 있는 극장을 대관할 기회가 없고, 의뢰한 희곡을 돌려 받는 데에만 6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한까지 작품을 완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극단 대표 A씨는 “(협회가) 내년 4월 쯤 예선전을 시행하는 방안도 고려한다고는 하지만, 예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부산문화재단의 우수예술작품 제작지원 발표가 3월임을 고려하면 현실성이 떨어진다”면서 “공연장이 예약돼 있고 현재 자금이 충분하고 공연 계획이 있는 팀만 참여할 수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실연이 아닌 영상 평가도 논란이다. 현장예술인 연극을 영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극단 대표 B씨는 “연극의 3요소 중 하나가 관객이다. 관객 없이 연극을 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은 영화와 다를 바가 없다”면서 “화질과 음질에 따라 연극의 작품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영상은 작품을 왜곡해 판단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협회 이정남 대표는 “초연작의 경우는 촉박할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시기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극단들이 원하면 예외 규정을 적용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영상 심사에 대해서도 “억 단위의 대형 프로젝트도 영상 심의를 한다. 디지털화 되는 세상에 아날로그만 고집하긴 어렵다. 첫 해이기 때문에 심사 방법과 예외규정을 신설할 예정”이라며 “28일 정기총회 이사회에서 통과해야 결정되는 것이지 시기와 심사방법 모두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