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거장 회화·영상 등 170여 점
- 현대문명 속성 기괴하게 그려내
- 팬데믹 실의에 빠진 인간 위로
두 귀가 동그란 귀여운 형태의 캐릭터 ‘탄탄보’의 얼굴이 혼란스럽다. 비집고 나오거나 터져 나온 것들이 뒤죽박죽 섞여 어지럽다. 대형 캔버스를 휘감는 혼돈과 불안에 집중할 즈음 캐릭터 머리 위 아주 작은 그림에 눈길이 간다. 주위 상황은 아랑곳없이 작은 캐릭터가 속 편하게 누워 자는 모습이다. 사회는 몰락으로 치닫는데 이를 감지하지 못한 채 눈 감고 있는 개인, 이 그림이 귀엽거나 괴기하기만 할 수 없는 이유다.
 |
지난 26일 부산 해운대구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일본 현대미술의 거장 무라카미 다카시가 자신의 작품 ‘욕망의 불꽃’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부산시립미술관은 오는 3월 12일까지 그의 대형회고전 ‘무라카미 다카시: 무라카미좀비’를 개최한다. 전민철 기자 |
일본 현대미술의 거장 무라카미 다카시(61)가 부산에 상륙했다. 이름은 낯설 수 있지만 ‘미스터 도브(DOB)’ ‘탄탄보’ ‘무라카미.플라워’ 등 그의 주요 작품은 널리 알려졌다. 부산시립미술관이 이우환과 그 친구들 네 번째 시리즈로 그를 초대했다. 2013년 서울 삼성미술관 플라토 전시 이후 10년 만의 한국 개인전이다. 대형 회고전으로 기획한 ‘무라카미 다카시: 무라카미좀비’에선 초기작부터 신작까지 회화 설치 영상 등 170여 점을 펼쳐 보인다.
무라카미 다카시는 ‘은하철도 999’ ‘미래소년 코난’과 같은 전후 일본 애니메이션과 함께 성장한 세대로, 일본의 서브컬처를 세계 중심이 된 서구 미술에 편입시키려는 전략으로 주목받는다. 그는 동양·서양, 전통·현대, 서구·일본 등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평평한 구조로 해석한 ‘슈퍼플랫(Superflat)’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무라카미좀비’라는 메인 타이틀 아래 ▷귀여움 ▷기괴함 ▷덧없음의 미학에서 전개되는 ‘좀비 미학’을 보여준다. 좀비는 신자유주의와 이에 기인한 현대인의 불안으로 해석되거나 기형적인 현대문명의 상징적인 현상으로 분석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변화하는 작가의 작품세계를 다루면서 ‘기괴함’에서 확장된 ‘무라카미좀비’의 구체적 형태를 만날 수 있다.
무라카미 다카시는 “동일본대지진 뉴스에서 가족 잃은 아이에게 이웃이 ‘엄마는 별이 됐어’라고 말하는 장면을 보며 종교가 시작되는 순간이라고 느꼈다. 자연재해는 원망할 상대가 없어 패닉에 빠지게 하는데, 전혀 다른 스토리로 패닉을 진정시키는 게 종교의 핵심이라고 깨달았다”며 “스토리가 있는 예술을 해야겠다고 생각했고, 100m 넘는 회화 ‘500나한도’와 영화 ‘메메노쿠라게’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
무라카미 다카시의 ‘붉은 요괴, 푸른 요괴와 48 나한’. ⓒ2023 Takashi Murakami/Kaikai Kiki Co., Ltd. All Rights Reserved.
|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또 다른 국면에 들어섰다고 설명했다. “팬데믹으로 인간은 도망갈 곳이 없어졌다. 종교도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에서 스토리도 힘을 잃어갔다. 그러다 아이들을 보니 온라인 게임, 줌, 메타버스 속에서 새로운 리얼리티를 만들더라. 가상세계에서도 현실을 구축하고 관계를 맺으며 위로받는 것을 느꼈다.” 그는 ‘그렇다면 예술은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했다.
이번 전시는 대서사시처럼 흐른다. ‘도보지테 도보지테 오샤만베’처럼 의미 없는 단어의 조합에서 출발한 캐릭터 ‘미스터 도브’의 탄생에서 시작해 이를 기괴하게 변형한 ‘탄탄보’ 캐릭터로 이어진다. 인간 존재의 불안을 강렬한 이미지로 표현한 작가 프란시스 베이컨에 대한 오마주를 통해 인간의 고뇌와 일그러짐과 욕망을 내보인다. 마지막 섹션에선 생과 사, 윤회에 허덕이는 인간을 담으며 덧없음에 대한 깨달음으로 마무리한다. 이우환공간에서는 무라카미 다카시의 ‘원상’ 시리즈를 소개한다. 한 획으로 긋는 동그라미이자 마음과 정신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수행의 표본이라는 뜻을 담은 ‘원상’ 시리즈는 이우환의 작품과 동질성을 공유한다. 전시는 3월 12일까지 이어지며 관람료는 무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