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역 예정…부지확보 관건
부산 공공 박물관·미술관·역사관의 소장 자료와 작품 수량이 해마다 늘면서 수장고 포화 시기가 다가오자 부산시가 ‘통합수장고’ 조성에 나선다. 단순히 예술작품이나 역사문화자료를 보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 친화적인 개방형 문화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관건은 ‘포화’가 현실이 되기 전에 부지를 확보해 수장고를 준공할 수 있느냐다.
|
부산시립미술관 수장고 내부 모습으로, 수장률이 99%에 달한다. 부산시는 지역 문화시설 소장자료 수장공간의 포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통합수장고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부산시립미술관 제공 |
부산시는 ‘통합수장고 건립·운영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위한 예산 8500만 원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주요 문화시설인 부산시립박물관 부산근현대역사관 부산시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의 소장 자료·작품이 늘어나는 데 따른 것이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4개 시설의 연평균 소장 자료 증가 규모(추산)는 총 4745점으로 조사됐다. 시설별로 보면 부산시립박물관 연평균 3600점, 부산근현대역사관 1000점, 부산현대미술관 100점, 부산시립미술관 45점이다.
해마다 소장자료가 늘어나면서 포화율 또한 커지고 있다. 시가 파악한 시설별 수장률은 부산시립미술관 99%, 부산근현대역사관 80%, 부산시립박물관 77%, 부산현대미술관 50% 순이다. 시 관계자는 “시설별로 이르면 5년, 늦어도 10년 이내에는 포화할 것으로 본다”며 “수장고가 차면 더는 유물 등을 기증받지 못해 연구·전시에도 제약이 따른다”고 말했다.
이런 사정이지만 인력·예산 문제로 소장 공간을 개별적으로 늘리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시는 미술관·박물관 자료를 한데 보관하는 통합수장고로 방향을 잡았다. 이달 중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꾸리고 ‘통합수장고 건립·운영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계획은 용역 결과가 나와야 잡을 수 있겠지만, 일반인의 접근을 통제하는 기존 시설들과 달리 전시와 관람이 가능한 ‘개방형 수장고’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일명 ‘보이는 수장고(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음)’ 또는 ‘열린 수장고(전시장 형태)’인데, 이는 전국적 추세다. 대전시립미술관이 지난해 10월 개방형 수장고를 개관했고, 서울은 지난해 7월 통합수장고를 착공했다. 대구시립미술관과 울산박물관 또한 이런 시설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도 항온·항습을 포함해 확장성·활용성·보존기능(복원과학) 등을 다양하게 고려한 공간을 만든다.
통합수장고 건립의 핵심요건은 부지 확보다. 4개 기관의 수장고 현황을 고려할 때 향후 30년간 대략 6910㎡ 정도 규모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시 고미진 문화예술과장은 “전시·관광 기능을 겸비해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공간으로 만들 것”이라며 “조만간 자문위원회를 통해 부산만의 콘셉트를 잡을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