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이영식교수의 이야기 가야사 여행 <52> 6세기 국제회의의 주역, 아라국

경승지에 건물 세워 왜 신라 백제 사신들과 함께 국제회의

격동기 6세기 나라 안녕위해 눈물겨운 외교전

여섯빛깔 문화이야기

  • 디지털콘텐츠팀 inews@kookje.co.kr
  •  |   입력 : 2008-02-14 20:21:25
  •  |   본지 17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경남 함안에서 발견된 건물 터. 아라국에서 제사나 회의를 개최한 국제회의장으로 추정된다.


가야의 누리마루

2004년 10월 20일, 아라국의 고도 함안에서 묘하게 생긴 유적이 발견되었습니다. 남해고속도로에서 가야 읍내로 들어가다 보면, 다리를 건너기 전에 왼쪽으로 함안중학교가 보입니다만, 그 뒤의 야트막한 언덕위에서 가로 40m 세로 16m나 되는 대형의 건물터가 발견되었습니다. 땅을 파고 기둥을 세웠다 하여 굴립주(掘立柱), 또는 마루가 높이 달린다하여 고상식(高床式)으로도 불리는 건물터였습니다. 가운데는 110~50㎝ 정도의 아주 굵은 기둥들이 일렬로 늘어섰고, 그 바깥쪽으로 43~33㎝ 정도의 기둥들이 타원형으로 촘촘하게 돌려져 있었습니다.

발굴조사를 담당한 동아문화연구원은 건물터의 크기나 모양으로 보아, 일반적 거주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제사나 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특수 목적의 건물로 판단하고, 기둥 둘레를 채워 다졌던 흙속에서 가야토기의 파편이 출토되는 것을 근거로, 서기 529년에 아라국에서 개최되었던 국제회의장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아라국왕은 가야 여러 나라, 왜 백제 신라 사신들이 참가하는 국제회의장으로서 고당(高堂)을 신축하였다고 전하는데, 바로 그 회의장이 발견되었다는 겁니다. 마침 현재의 지명도 당산(堂山)이고, 앞서 둘러본 아라국 왕궁터에서도 가깝습니다. 궁터에서 동북으로 2km 정도 떨어진 이 언덕은 당시에는 물가에 위치한 경승지였을 것으로, 지난번 APEC 때 세계정상들의 회의장이었던 해운대 동백섬의 누리마루와 비교해, 위치나 역사적 성격에서 닮았다하면 지나친 과장일까요?

격동기의 국제회의

아라국에서 국제회의가 개최되는 6세기 전반은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아라국을 비롯한 가야제국의 주변상황은 신라의 서진과 백제의 동진에 아울러 대항해야 할 만큼 급박해집니다. 신라는 532년까지 동래에서 낙동강을 건너 김해(南加羅)→진영(啄己呑)→창원(卓淳)으로, 백제는 529년까지 임실(上己汶)→남원(下己汶)→하동(多沙)→진주(下韓)로 각각 진출합니다. 신라가 진출한 창원(卓淳)과 백제가 진출하는 진주(下韓)는 바로 함안의 앞과 뒤입니다. 순망치한(脣亡齒寒)의 아라국이 가야국왕들을 회유하고, 왜(倭)와 연계하면서, 백제와 신라의 진출을 막아보려던 외교적 시도의 하나가 고당회의(高堂會議)였습니다. 이 때 함안에 주재하면서 아라와 신라, 또는 백제와 가야의 화해를 주선했던 왜의 사신들은 '일본서기'에서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나 아라일본부(安羅日本府)와 같이 표기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주에 다시 살펴보겠습니다만, 아라국왕의 의지에 따라 움직여지던 친(親) 가야계 왜의 사신들이었습니다. 아라국왕은 이러한 왜의 사신들을 백제와 신라의 외교일선에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아라를 비롯한 가야제국의 배후에 왜왕이 있는 것처럼 보여, 백제와 신라의 침입을 막아보려 했던 외교적 노력이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노력은 백제와 신라 사이를 오가는 줄타기 외교와 같은 형태로 전개되기도 하였습니다. 신라가 낙동강을 건너면 백제와의 친선외교를, 백제가 섬진강을 건너면 다시 신라와의 친선외교를 추진하여, 각각의 군사적 침입을 막아보려던 외교적 노력이었습니다.

주최자 아라국왕

나라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왜를 끌어 들이고, 백제와 신라 사이를 오가는 외교적 노력은 참으로 눈물겹습니다만, 아라국왕의 국제적 위상이 그렇게 궁색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일본서기'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가야 여러 나라는 아라(安羅)를 형(兄)으로 받들었고, 백제의 소환을 거부하는 왜의 사신들은 아라국왕의 불허를 핑계로 내세웠으며, 백제의 성왕은 왜의 사신들이 아라국왕의 말만 따르기 때문에, 백제와 왜의 외교가 원활치 못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당에는 아라국의 왕과 대신 한두 명 그리고 왜의 사신만 올랐을 뿐, 백제와 신라의 사신은 몇 달 동안 여러 번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오를 수 없었고, 이를 분하게 여긴 백제와 신라가 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아라국은 가야와 주변제국 모두가 인정하던 대국이었고, 그 외교 실현의 구체적 장소가 고당(高堂)이었던 겁니다. 지금까지는 성산산성이 제일의 후보지로 생각되었으나, 금번의 발견으로 또 하나의 유력한 후보지가 등장한 셈입니다. 인제대 인문사회대학 학장·역사고고학과 교수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투입할 비행기 없어서…에어부산 인기노선 감편
  2. 2옥상재배, 공방…부산 영도 봉산마을 빈집 정비 8년 ‘자립경제’ 발판
  3. 3부산지역 철도 지하화 본격화…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 시작(종합)
  4. 4마냥 웃지 못할 과밀학급 해소
  5. 5[시인 최원준의 음식문화 잡학사전] <56> 동해안 밀복
  6. 6“노래 개사해 성희롱…시설공단 前 이사장 해임 정당”
  7. 7병원 떠났던 전공의 56%가 재취업…그 중 과반은 ‘동네의원 일반의’로
  8. 8테무 “한국서 오픈마켓…판매자 모집”
  9. 9뒷돈에 공교육이 무너진다…‘문제팔이’ 교사 213억 챙겨
  10. 10사상~하단선 공사장 싱크홀, 폭우·부실 물막이가 원인
  1. 1국회 측 ‘尹, 의원 체포 지시’ 檢조서 공개…尹 측 반발
  2. 2‘87체제’ 한계에 불 붙은 개헌 논의…대권 잠룡 “균형발전·분권” 목청도
  3. 3[속보]국민의힘 일부 당원, 김상욱 지지 선언… “배신자 아닌 국민 영웅”
  4. 4글로벌허브법 표류에 부산與 “공청회라도”…野는 또 외면
  5. 5‘에너지 3법’ 여야 합의로 국회 산업위 통과… 본회의 처리 전망
  6. 6[속보] “윤 대통령, 20일 첫 형사재판·구속취소심문 출석”
  7. 7검찰 ‘국방부 국회협력단’ 압수수색
  8. 8이재명 "민주당, 진보 아니다…중도·보수로 오른쪽 맡아야"
  9. 9권익위 “곽종근, 공익신고자로 판단…공수처·대검에 신고서 송부”
  10. 10민주, 근로소득세 개편 시사…이재명 "월급쟁이는 봉인가"
  1. 1부산지역 철도 지하화 본격화…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 시작(종합)
  2. 2테무 “한국서 오픈마켓…판매자 모집”
  3. 3[르포] 같은 라인서 내연·전기차 공정…年 20만 대 생산 길 열려
  4. 4삼성전자, 석달간 3조씩 자사주 매입…주가부양 나서는 기업들(종합)
  5. 5정부, 상반기 중 부산진역~부산역 지하화 기본계획 수립 착수
  6. 6지방 미분양 주택 급증 사태 해결 청신호… LH, 3000가구 매입(종합)
  7. 7“기술 명장 명예의전당 부산시민공원에 설치해야”
  8. 8민주 "대왕고래 1차 시추비 1263억원…정부 발표보다 200억↑"
  9. 9전국 수출 8% 늘 때 부산 되레 3.4% 줄었다(종합)
  10. 10“북극항로 개척, 부산 미래를 준비하는 포석”
  1. 1투입할 비행기 없어서…에어부산 인기노선 감편
  2. 2옥상재배, 공방…부산 영도 봉산마을 빈집 정비 8년 ‘자립경제’ 발판
  3. 3마냥 웃지 못할 과밀학급 해소
  4. 4“노래 개사해 성희롱…시설공단 前 이사장 해임 정당”
  5. 5병원 떠났던 전공의 56%가 재취업…그 중 과반은 ‘동네의원 일반의’로
  6. 6뒷돈에 공교육이 무너진다…‘문제팔이’ 교사 213억 챙겨
  7. 7사상~하단선 공사장 싱크홀, 폭우·부실 물막이가 원인
  8. 8부모가 자식을, 교사가 학생을…패륜범죄 잇따르는 사회
  9. 9부산 선박 침몰인데…전남도 10억 지원, 부산시 ‘0’
  10. 10올해 ‘고3’ 4만 명 늘어난다…좁아진 대입문, 새 판 짜기
  1. 1베스트11 물갈이, 빠른 공격축구…아이파크 확 바꾼다
  2. 2동계체전 첫날 부산선수 금 4·은 3·동 4개 ‘순항’
  3. 3“굿바이 배구여제” 김연경 은퇴 투어
  4. 42023년 다 잡은 티켓 놓쳐…“올핸 꼭 승격”
  5. 5‘쏘니’ 결승골 견인…토트넘 2연승
  6. 6다저스 “타격 폼 좀 바꿔봐” 김혜성 적응훈련 구슬땀
  7. 7“롯데 스프링캠프, 부상은 없다”…바다 건너 선수들 챙긴 주치의
  8. 8BNK 챔프전 사활…이소희가 절실하다
  9. 9전국동계체전 개막…부산 선수 172명 출전
  10. 10SF 이정후 3번타자 출장? 李 “어디든 상관 없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