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교육감 선거에서는 교육철학이 명확하고 독자적으로 정책을 집행할 수 있는 인사가 선출돼야 한다는 데 각계의 목소리가 집약됐다.
부산교대 성병창(교육학과) 교수는 "교육감은 정책을 수립하고 올바르고 정확하게 집행할 수 있는 관리자로서의 자질과 구성원들을 정책 집행에 효율적으로 참여시키고 리드할 수 있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교육행정에 대한 전문성과 교육 현장에 대한 전반적인 식견과 안목을 갖춘 인물이 교육감으로 선출돼야 한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또 "지금까지 부산교육청은 기초 연구나 관련 자료가 턱없이 부족해 중앙의 정책을 고스란히 집행하는 역할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제부터라도 부산교육감은 중앙에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인 정책을 수립, 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학부모 단체에서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는 교육감을 원했다. 채승영 참교육학부모회 부산지부장은 "부산교육청이 수년간 평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고 자랑하지만 학생이나 학부모가 체감하는 실제 순위는 전혀 그렇지 않다"며 "이번 선거에서는 학생들을 획일화된 교육과 입시지옥에서 해방시키고, 학부모들을 사교육비 부담에서 벗어나게 해 줄 수 있는 교육감을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교조에서도 학생들의 인권이 보장되는 학교를 만들 수 있는 교육감이 선출되기를 희망했다. 전교조 부산지부 강용근 정책실장은 "새로운 교육감은 경쟁·차별 교육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약자를 지원할 수 있는 교육의 보편적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인물이 돼야 한다"며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학교에 맡긴 뒤 안심할 수 있도록 학교의 체질을 개선하는 것 또한 교육감의 가장 큰 의무 중 하나다"고 말했다.
김해몽 부산시민재단 사무처장은 "부산에서 인재를 길러내고, 그 인재들이 고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사람이 교육감이 돼야 한다"며 "작은 틀의 개념에서는 사교육 문제 해결과 방과후학교,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적임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