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6·2선거 현장&] 유권자 귀부터 잡아라… `선거 로고송` 선점 경쟁

후보자들 선호곡 겹쳐 장윤정·박현빈 노래 `예약대란`

저작권료 부담… 제작 포기도

  • 이병욱 기자 junny97@kookje.co.kr
  •  |   입력 : 2010-05-11 22:24:18
  •  |   본지 4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무소속으로 부산 모 구청장 선거에 출마한 B 씨는 최근 선거에 사용할 '로고송'을 선정하는 데 애를 먹었다. 자신이 사용하려 한 곡 대부분을 상대 후보들이 이미 선점해버렸기 때문이다. B 씨는 하는 수 없이 유행이 좀 지난 트로트 음악 두 곡을 골라 자신에게 맞게 개사했지만 선거 기간 유권자들에게 제대로 어필할 수 있을지 고민이다.

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출마자들 간 로고송 선점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로고송이 가장 쉽고도 효과적인 유세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인기 곡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예약'이 끝난 상태다.

로고송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때는 지난 1997년 15대 대선으로 당시 김대중 후보는 문희옥의 트로트 곡 '성은 김이요'를 절묘하게 개사해 로고송으로 사용했고, 큰 인기를 끌었다. 이후 대부분의 선거에서 정당 차원에서 로고송을 만들었고, 후보자별로도 인기 있는 노래를 개사하는 것이 유행처럼 퍼졌다.

상황이 이렇자 인기 가수의 제작사들은 선거 때마다 막대한 저작권료 수입을 올리며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지난 여러 차례의 선거에서 장윤정, 박상철, 박현빈 등 트로트 가수들의 노래가 인기를 끌었다. 반면 후보자들이 선호하는 곡이 한정돼 있어 이를 선점하려는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도 '황진이' '오빠만 믿어' '장윤정 트위스트' 등 트로트 가수들의 노래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월드컵 시즌'을 맞아 윤도현밴드의 '오 필승 코리아' 등 응원가도 상한가를 치고 있다.

이처럼 로고송 선점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비싼 저작권료 때문에 로고송을 아예 제작하지 않거나 당의 로고송을 그대로 받아 쓰는 사례도 적지 않다. 로고송은 노래와 선거의 종류별로 저작권료가 다르게 책정되는데 구의원 선거의 경우 저작권료와 제작비용을 합쳐 곡 당 평균 100만 원, 시의원은 200만 원, 구청장은 300만 원 수준이다. 구청장 후보가 로고송 3~4곡을 사용할 경우 제작비만 1000만 원을 훌쩍 넘기게 되는 것이다.

시의원 후보 C 씨는 "법정 선거비용이 5500만 원 수준인데 로고송 서너 곡을 사용하면 1000만 원이 넘어 엄두를 내기 힘들다"면서 "중앙당이 사용하는 로고송을 그대로 받아 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속보] 김두관, 7일 대선 출사표…민주당 첫 주자
  2. 2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연기 등 학사일정 조정 불가피
  3. 3개인 경호 외 대통령 예우 박탈, 한남동 관저서도 즉시 퇴거해야(종합)
  4. 4이재명 대세론 속 ‘장미 대선’ 레이스 점화(종합)
  5. 5부산시 산하 17개 공공기관 320명 신규채용
  6. 6대통령 윤석열 파면(종합)
  7. 7‘코인 투자하면 50% 이자 지급’ 사기로 29억 가로챈 30대 실형
  8. 8“너무 당연한 결과” “어떻게 이럴 수 있나” 시민 희비교차
  9. 9자충수로 단명한 尹 ‘1000일 정부’
  10. 1012·3 비상계엄, 요건 모두 위반…尹 제기 ‘절차 문제’ 모두 불인정
  1. 1[속보] 김두관, 7일 대선 출사표…민주당 첫 주자
  2. 2개인 경호 외 대통령 예우 박탈, 한남동 관저서도 즉시 퇴거해야(종합)
  3. 3이재명 대세론 속 ‘장미 대선’ 레이스 점화(종합)
  4. 4대통령 윤석열 파면(종합)
  5. 5자충수로 단명한 尹 ‘1000일 정부’
  6. 612·3 비상계엄, 요건 모두 위반…尹 제기 ‘절차 문제’ 모두 불인정
  7. 7尹 “기대 부응못해 죄송…국민 위해 기도할 것”(종합)
  8. 8與 “국민께 사과…입법 독주 못 막은 점도 반성”(종합)
  9. 9尹, 이틀째 관저 머물며 퇴거 준비…대통령실 홈페이지도 운영 중단
  10. 10홍준표 대선 출마 시사 “30여 년 정치 인생 마지막 사명”
  1. 1키움증권, 이틀 연속 초유의 주문처리 시스템 ‘먹통’
  2. 2경제계 “이제 조속한 국정 정상화로 경제살리기 총력을”
  3. 3"주식 대주주 1인당 양도차익 29억원…정부는 감세 혜택만"
  4. 4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하락폭은 눈에 띄게 축소
  5. 5트럼프 ‘전세계 10% 기본관세’ 발효…상호관세 9일부터, 韓 25%
  6. 6[속보] 트럼프 정부 ‘전세계 10% 기본관세’ 정식 발효
  7. 7세계 1위 포워딩 기업 부산항 찾아
  8. 8샤오미 15 울트라 국내 출시...'라이카 협업' 첫 마스터 클래스
  9. 9‘K-편의점’ 외국인 MZ관광객 핫플 부상
  10. 10지주택이 대선주조 인감 위조…동래구 ‘조합원 모집’ 무효화
  1. 1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연기 등 학사일정 조정 불가피
  2. 2부산시 산하 17개 공공기관 320명 신규채용
  3. 3‘코인 투자하면 50% 이자 지급’ 사기로 29억 가로챈 30대 실형
  4. 4“너무 당연한 결과” “어떻게 이럴 수 있나” 시민 희비교차
  5. 5[속보] 문형배 “탄핵 심판절차 원만히 진행…언론·경찰에 감사”
  6. 6“자가용 억제·대중교통 유도, 싱가포르 정책 참고하자”
  7. 7부산서 유류탱크 보수하던 작업자 1명 사망
  8. 8의협 ‘尹파면’에 투쟁 본격화…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예정
  9. 9경찰·노동부 ‘산청 산불’ 발화 원인·중대재해 본격 조사
  10. 105일부터 예고된 김해 시내버스 총파업 극적 타결…시내버스 정상운행
  1. 1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2. 2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3. 3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4. 4박정은 감독 “BNK, 부산의 자랑이 되길” MVP 안혜지 “우승 맛 보니 한 번 더 욕심”
  5. 5유격수 구인난 롯데, 경쟁체제 희망
  6. 6롯데, 적과의 동침…NC, 사직구장에 둥지 튼다
  7. 7롯데 반즈, 사직 징크스?…폭삭 무너졌수다
  8. 8KCC 홈경기 8연패 탈출…4일 삼성과 마지막 홈전
  9. 9[뭐라노] 사직구장 재건축 '제동'
  10. 10레이예스마저 깼다…"롯데, 돌아왔구나!"
다시 열린 트럼프 시대
충성파로 내각 채우고 입법부까지 장악…트럼프 폭주 예고
다시 열린 트럼프 시대
美공장 지어 무역장벽 우회…‘미국통’ 등용 네트워킹 강화도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