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4·11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이 합의된 가운데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가결되자 이경재 위원장과 여야 간사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용우 기자 ywlee@kookje.co.kr |
- "지금와서 선거구 합치는 건 선거 하지 말라는 것" 분통
- 남해 하동 인구가 더 적어 사천지역 후보 유리 전망
- 김두관 정치적 고향 남해와 강기갑 있는 사천 합쳐 관심
- '친박학살' 비판받는 이방호, 낙천위한 여당 포석 해석도
4·11총선에서 경남 남해·하동 선거구를 사천과 합치는 등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해당지역 선거 구도가 요동치고 있다.
■남해·하동 후보들 망연자실
남해·하동과 사천 통폐합으로 선거 구도가 어떻게 짜여질 지 현재로선 예측불허다. 남해·하동과 사천의 예비후보들은 "선거가 코앞에 다가왔는데 지금 와서 선거구를 합쳐서 국회의원을 뽑으라는 것은 선거를 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남해·하동의 인구가 10만3900여 명으로 사천(12만여 명)에 비해 적다는 점에서 통합 선거구에서 치르는 첫 선거는 남해·하동 출신 후보들이 불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다. 남해·하동 지역에는 새누리당 여상규 의원과 하영제 전 산림청장 2명 만이 공천을 신청한 상태다. 야권 후보는 없다. 사천에는 새누리당 7명과 야권 3명을 합쳐 모두 10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일단 여 의원과 하 전 청장은 "지역주민의 허탈감을 달래는 것이 우선"이라며 자신들의 선거 유불리에 대해서는 언급을 꺼렸다. 하지만 여 의원의 경우 지역구를 지켜내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불출마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연대가 얼마나 위력을 발휘하게 될 지도 관심사다. 남해는 김두관 경남도지사의 정치적 고향이고, 그의 최측근인 정현태 군수가 재직중이다. 사천에는 통합진보당의 강기갑 의원이 버티고 있다.
사천에 출마한 민주통합당 조수정 후보는 "선거를 앞두고 조정이 이뤄져 당혹스럽다"면서도 "남해, 하동, 사천이 합쳐진 것은 김두관 지사와 내가 합쳐졌다는 의미다. 반드시 승리해 정권교체의 첨병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방호 거취 관심
이날 사천이 새누리당의 전략지역으로 선정되고, 남해·하동과의 통폐합이 동시에 결정되면서 이방호 전 한나라당 사무총장의 거취도 관심이다. 이 전 총장은 친박계로부터 18대 총선 '공천 학살'의 주역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당내 후보는 물론 강기갑 의원에 비해서도 우위를 보인 것으로 알려져 당에서도 이 전 총장의 공천을 놓고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이날 이뤄진 사천의 전략지역 선정과 남해·하동과의 통폐합은 이 전 총장의 낙천을 염두해 둔 포석이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에 대해 이 전 총장은 "여론조사 1위 후보를 무시하고 전략지역으로 선정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사천은 전략지역 요건에 해당하지도 않는다"며 당의 방침을 비판했다. 특히 그는 "수협중앙회 회장 시절 남해·하동 어민, 농민들과 좋은 인연을 맺어왔고 누구보다도 그 지역 사정을 잘 안다"며 "통합으로 불어닥칠 야권 바람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이기는 공천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