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총리후보자가 24일 사퇴 기자회견 도중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창극 사퇴' '문남규' '삭주'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사퇴 기자회견에서 "2010년 애국장이 추서된 문남규 선생은 저희 할아버지"라고 밝힌 뒤 온라인이 시끌벅적하다.
문창극 후보자는 24일 총리 후보 사의를 표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저를 친일과 반민족이라고 주장하시는데 대해 저와 제 가족은 너무나 큰 상처를 받았다"라며 "저의 가족은 문남규 할아버지가 3·1운동 때 항일운동을 하셨다고 문기석 아버님으로부터 듣고 자랐다"라고 했다.
문창극 후보자는 "저에 대한 공격이 너무 사리에 맞지 않기 때문에 검증 과정에서 저의 가족 이야기를 했고, 검증팀이 보훈처에 자료를 가지고 알아봤다"라고 전했다.
그는 "뜻밖에 저희 할아버지가 2010년에 애국장이 추서된 것을 알았다"라며 "저의 자녀도 검색해봤다. 여러분도 검색창에 '문남규 삭주' 이렇게 검색해 달라"고 했다.
그는 "저의 원적은 평북 삭주다. 그리고 이 사실이 실려 있는 1927년 상해 발행 독립신문 찾아보시라. 이거 언론재단에 다 있다. 저희 가족은 밖에 알리지 않고 조용히 처리하기로 했다"고 했다.
문창극 후보자의 기자 회견이후 포털사이트 검색창에도 '문남규', '문남규 삭주'를 검색한 누리꾼들이 급증했다. 이날 오전 '문남규', '문남규 삭주'는 급상승 검색어에 올랐다.
앞서 23일 국가보훈처는 문창극 후보자의 할아버지와 건국훈장을 추서 받은 문남규 선생이 동일 인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문남규 선생은 지난 1921년 평안북도 삭주에서 일본군과 전투하다 전사한 대한독립단 소속 독립투사다.
이에 대해 다수의 매체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주장을 인용해 애국지사 문남규 선생이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조부라는 증거가 없다고 보도했다.
24일 서울경제 보도에 따르면 민족문제연구소측은 "애국지사 문남규 선생과 문창극 후보의 조부가 동일인이라고 확정할 수 있는 자료는 아무 것도 없다"고 밝혔다.
민족문제연구소 유은호 책임연구원은 "현재 발굴된 사료로는 문남규 선생의 출생지를 알 수 없다. 다만 대한독립단 주 모씨 휘하 소대 대원으로 1920년(민국2년) 평안북도 삭주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전사했고 이 같은 내용이 1921년 4월9일자 독립신문에 실려있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조세열 사무총장은 "설령 문창극 후보의 할아버지가 독립운동가라고 해도 그의 잘못된 가치관과 역사관에 면죄부를 줄 수는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누리꾼들은 "문창극 총리 후보 사퇴, 마지막까지 검색순위 1위" "문창극 총리 후보 사퇴, 검색창에 문남규 쳐보라고 하고 홀연히 사퇴했네" "문창극 총리 후보 사퇴, 조부가 독립운동가라면 더욱 언행에 조심해야할 듯" "문창극 총리 후보 사퇴, 문남규 검색하는 사람들 진짜 많네" "문창극 총리 후보 사퇴, 이제 와서 조부 확인 요청이라니" 등의 반응을 보였다. 디지털뉴스부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