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김종인,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10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만나 정국현안을 논의했다.
김 전 대표가 전날 바른정당의 또 다른 대선주자 유승민 의원과 회동한 데 이어 이날 남 지사까지 연쇄적으로 만나 접촉면을 넓혀가는 모양새라 눈길을 끌었다.
특히 이날 회동은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인용 결정한 직후 이뤄진 것이어서 두 사람의 대화 주제는 자연스럽게 '포스트 탄핵' 문제에 집중됐다.
남 지사가 "정치권이 잘해야 한다"고 운을 떼자 김 전 대표는 "지금부터가 중요한 일"이라며 "갈가리 찢어놓은 국민 마음을 잘 봉합해서 국제적으로 국내적으로 어려운 파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치권이 합심해 새 정부가 잘 탄생하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헌재의 탄핵 인용으로 60일 안에 치러질 조기대선에 대해서는 '국민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전 대표는 "60일 안에 새로운 리더십을 뽑아야 하는데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 나와야 하지 않겠느냐 생각한다"며 "국민이 어떤 사람을 택해 자기네 운명을 맡길지는 국민의 몫"이라고 말했다.
헌재 결정에 대해서는 "국민이 현직 대통령을 탄핵하라고 외쳐서 헌재가 오늘 탄핵을 결정했다"며 "일단 국민이 민주주의 사회에서 승리를 봤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런 측면에서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상당히 발전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서도 "거기에 그치지 말고 경제도 그렇고, 안보도 그렇고, 국민이 편안하게 살 길로 가야 되므로 국민이 어떤 지도자를 선택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연정과 협치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남 지사가 "어떤 대통령이 뽑히더라도 협치 없이는 국회를 이끌기 어렵다"고 말하자 김 전 대표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혁신하려면 최소한 다음 정권은 180석이넘는 협치 체제를 구축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면서 "어떻게 만드느냐가 성공의열쇠"라고 말했다.
김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