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시절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송민순 전 장관이 2007년 11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논란과 관련한 '쪽지'를 공개했다.
사진=2007년 당시 김만복 국정원장(왼쪽)과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연합뉴스
중앙일보가 단독 입수한 해당 쪽지를 두고 송 전 장관은 "당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이 북한으로부터 연락받은 내용을 공개한 것"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노 대통령이 2007년 11월 20일 오후 6시50분 나를 방으로 불러 '인권결의안 찬성은 북남선언 위반'이라는 내용이 담긴 쪽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송 장관이 공개한 쪽지에는 '만일 남측이 반공화국 인권결의안 채택을 결의하는 경우 10·4선언 이행에 북남간 관계 발전에 위태로운 사태가 초래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남측이 진심으로 10·4선언 이행과 북과의 관계 발전을 바란다면 인권결의안 표결에서 책임 있는 입장을 취해주기 바란다'는 등 내용이 적혀 있었다.
해당 문건의 무궁화와 태극 문양에 대해 송 전 장관은 "청와대 문서 마크"라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은 지난해 10월 발간한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서 노무현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에 앞서 북한에 물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과정에 당시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이 "북한 반을을 알아보자"고 말했다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정작 이 같은 '쪽지'의 출처로 지목된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다른 반응을 보였다.
그는 "당시 북한에 '남한이 인권결의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든 지금 처럼 좋은 남북 관계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은 보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전 원장은 "당시 문재인 실장은 이 문제에 아무 관심도 없었다. 공연히 안보장사에 휘말려 고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