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6명 중 27명 전과… 자질 논란
- 동래 주요 3당 모두 범죄 전력
- 민주당선 사하을 이상호 ‘최다’
- 최인호·김영춘 등 집시법 위반
- 하태경 국보법, 장제원 무고죄
- 김척수 관세법, 백종헌 소방법
- 혐의 각양각색… 군 면제도 다수
4·15총선 부산 후보 76명 중 27명이 전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후보 자질과 관련해 선거과정에서 주요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투표가 꽃피는 날- 29일 부산 동래구 온천천 산책로에서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이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kookje.co.kr |
동래에 출마한 주요 3당 후보는 모두 전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박성현 후보는 집시법 위반 1건, 특수공무집행방해 1건 등 학생운동으로 인한 전과가 2건 있다. 또 수질 및 생태계보전에 관한 법률 위반 전과는 S&T 경영본부장 시절 공장 책임자로서 받은 처벌이라고 박 후보는 설명했다.
통합당 김희곤 후보는 음주운전 전과 1건이 있고, 정의당 박재완 후보는 음주운전 2건과 함께 특가법(도주차량)상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은 전력이 있다.
민주당에서는 이상호(사하을) 후보가 7건으로 전과가 가장 많다. 2002년 대선 때 노무현 전 대통령을 후원하기 위해 ‘희망돼지저금통’을 기획하고 실행에 옮기면서 선거법을 위반했다. 이 밖에도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음주운전 등의 전과가 있다.
현역 의원 가운데는 민주당 최인호(사하갑) 후보가 부산대총학생회장 시절 학생운동으로 인한 폭력행위등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이 있다. 김영춘(부산진갑) 후보 역시 학생운동 전력으로 인한 폭력행위등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및 집시법 위반 1건이 있다.
통합당 하태경(해운대갑) 후보는 국가보안법 위반 2건이 있다. 장제원(사상) 후보는 무고죄로 벌금 300만 원을 선고받은 바 있다. 장 후보 측은 20년 전 경영하던 출판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업무 미숙으로 인한 고소·고발 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 외 통합당 김척수(사하갑) 후보는 관세법 위반, 이주환(연제) 후보는 음주운전 1건이 있으며, 백종헌(금정) 후보는 소방법 위반으로 100만 원 벌금을 받은 적이 있다.
민생당 배준현(수영) 후보는 국보법 위반과 함께 음주운전 2건이 있다. 국가혁명배당금당 박상근(기장) 후보는 식품위생법 위반 등 7건의 전과가 있고, 김성기(서동) 후보는 살인으로 2년간 복역한 전과가 확인됐다.
주요 정당 후보 중 군 복무를 하지 않은 후보도 상당수 있다. 통합당 전봉민(수영) 후보는 피부 질환으로 병역면제를 받았다고 했다. 류영진(부산진을) 후보는 양안부동시로 인해 병역면제를 받았다. 김영춘 최인호 하태경 후보 등은 민주화운동 등에 따른 수형 전력으로 군 면제됐다.
정유선 기자 freesun@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