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맞는 부분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기술인 SCC-ML(Smart Cruise Control-Machine Learning·머신러닝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  |
| 현대차·기아차는 인공지능 기반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신차에 적용한다. 현대 기아차 제공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Smart Cruise Control)은 앞차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자율주행을 해주는 기능으로,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첨단 운전자보조 시스템)의 주요 기술 중 하나다.
SCC-ML은 여기에 인공지능 기술을 더해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차가 스스로 학습해 SCC를 작동할 때 운전자와 거의 흡사한 패턴으로 자율주행을 해준다.
기존의 SCC는 앞차와의 거리, 가속성 등의 주행패턴을 운전자가 직접 설정해야 했으며, 조절되는 단계가 세밀하지 않아 운전성향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현대차·기아차가 독자 개발한 SCC-ML은 다양한 주행상황을 고려해 총 1만 개 이상의 패턴을 구분함으로써 어떤 운전자의 성향에도 맞출 수 있는 기술이다. SCC-ML은 자동 차로 변경 기능을 포함하는 HDA II와 함께 적용돼 자율주행 레벨 2을 넘어선 레벨 2.5 수준을 구현한다. 현대차·기아차는 이 같은 기능을 향후 신차에 선별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차 자율주행개발센터 관계자는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인공지능 분야에서 업계 선두권의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손균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