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라증권 “에너지물가 더 불안”
주요 선진국이나 경제 구조가 비슷한 대만과 비교해 우리나라 과일·채소 가격이 올해 들어 가장 크게 뛴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증권에 따르면 G7(미국 일본 영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과 전체 유로 지역, 대만과 한국의 올해 1~3월 월평균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3.0%로 영국(3.5%)·미국(3.3%)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이웃 일본은 2.6%, 대만이 2.3%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과일과 채소 가격 오름세는 압도적 1위였다. 국내 과일류의 상승률은 1~3월 월평균 36.9%로, 2위 대만(14.7%)의 2.5 배에 이르렀다. 이탈리아(11.0%), 일본(9.6%), 독일(7.4%) 등에서도 같은 기간 과일 가격이 많이 뛰었지만 10% 안팎 수준이었다. 채소류 상승률도 한국(10.7%)이 이탈리아(9.3%) 영국(7.3%) 등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신선 과일·채소류가 단일 품목으로 발표된 미국의 상승률은 올해 월평균 1.3%에 그쳤다.
국내 에너지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주요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불안하다. 에너지 관련 항목(전기·가스요금, 연료비 등)을 노무라증권이 가중 평균해 산출한 에너지류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한국이 1~3월 월평균 1.1%로 프랑스(2.7%)에 이어 2위였다. 특히 2월 국제 유가 상승분이 본격적으로 휘발유·경유 등에 반영되기 시작한 3월(2.9%) 상승률은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기본적으로 국제 정세 불안 등에 따른 유가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작년 5월 전기요금 인상의 여파도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중동사태나 기후변화 등이 이어질 경우 한국이 경제구조상 가장 물가를 잡기 어려운 나라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에너지류 물가뿐만 아니라 밀가루 등 곡물의 수입 의존도 역시 높아 중동 사태가 장기화하고 이상기후가 더 잦아질수록 우리나라 물가는 식품·에너지를 중심으로 관리하기 점차 더 어려워지는 취약한 구조”라고 지적했다.